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과 인도에서 반(反)식민 저항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던 3·1운동과 세포이 항쟁에 관한 양국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양국에서 민족운동을 다루는 관점과 방법상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양국의 중·고등학교 역사 교육과정, 해당 단원의 교수요목, 그리고 교과서의 내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중·고등학교에서 역사가 필수과목으로 편제되어 있는 한국은 3·1운동에 관해 ‘일제 강점기의 민족운동’의 맥락에서 반복적으로 학습하며, 배경·과정·의의라는 내용 틀에서 다룬다. 학교급과 출판사에 따른 상세함의 차이는 있으나 교과서 서술의 내용과 패턴은 유사하게 나타난다. 인도는 필수과정인 8학년에서는 세포이 항쟁의 본질과 사료 탐구에, 선택과정인 12학년에서는 항쟁의 재해석과 시각자료 탐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세포이 항쟁은 독립된 단원으로 주제 중심에 기반을 두고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단계별 수준에 맞게 역사적 자료를 매개로 ‘역사하기’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한국의 역사교육이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을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인도 교과서 서술은 비교 분석 차원에서 참고할 수 있는 사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March 1 Movement and The revolt of 1857 in Korea and India history textbooks,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views and methods in dealing with the national movement in both countries. To this end, I examined the history curriculum, syllabus of the unit, 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o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in both countries. In Korea, where history is an essential subject in middle and high schools, March 1 Movement is taught repeatedly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s covered in the context of background, process and influence. There are different in detail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and the publisher, but the descriptions and patterns of textbooks are very similar. In the case of the India, the 8th grade focuses on the nature of the revolt and study of sources like vernacular and British accounts. In 12th grade focuses on reinterpretation of the revolt and study of visual materials. The revolt of 1857 is intensively dealt with in an whole chapter, and theme-centered. In addition, it is linked organically with 'doing history' through historical sources in accordance with stage level. At the time when Korea’s history education is focused on the thematic centered method, the case of India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comparativ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