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회의 본질이 선교라는 명제를 받아들인다면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선교적”이란 교회의 특성을 가리키는 용어는 교회의 다른 역할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선교적 교회와 함께 선교적 그리스도인, 선교적 삶, 선교적 예배 등 이 모든 것을 포괄적인 목회활동을 가리키는 용어로 선교적 목회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교회가 속한 모든 현장이 선교현장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교회가 하는 모든 일은 선교적 증언을 지향해야 한다. 교회 안에서 필요한 사역들, 예배, 설교, 성경공부, 심방과 상담, 행정 등을 수행하는 목회활동 역시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삶이 세상에서 증인이 되는 것에 있다. 지역교회가 선교적 교회를 구체화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목회자의 목회관에 달려 있다. 본 글의 주제를 선교적 목회로 설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선교적 목회를 제안하는 것은 현대 한국교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관한 학문적 논의를 한 걸음 더 구체적으로 발전시켜 가기를 원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현장에서 이미 실천하고 있는 선교적 목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는다. 본 글에서 필자는 선교적 교회를 실천하는 사역으로 선교적 목회를 실천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교회중심적 패러다임의 두 유형을 소개한 후 선교적 목회를 실천하는 근거와 실제적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If the nature of the church embraces the proposition of mission, then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 same term as “missional” to describe other roles in the church. It is suggested that, similar to terminology like the missional church, the missional Christian, the missional life, and the missional worship, those who are in ministry should use the term missional ministr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every field of the church is a mission field, all the work of the church should aim for a missional testimony. Pastoral ministry that performs ministries, worship, preaching, bible study, visitation, counseling, and administration in the church is not a goal in itself, but a local church and Christian life that functions as a witness in the world. The perspective of the pastor determines how much the local church embodies the missional church. This is why the topic of this article is set as missional ministry. The intention behind proposing a missional ministry is to further develop the academic debate on the missional church in the modern Kore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