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고 선호하는 여가의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여가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제 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부가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전기노인 2,212명, 후기노인 1,985명으로 총 4,1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노인(6.83시간/7.39시간)에 비해 후기노인(7.64시간/7.81시간)의 주중 및 주말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요일에 관계없이 휴식활동이 80%이상(TV시청 및 라디오듣기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와 여가만족도 결과, 주중의 경우 선호하는 여가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더 높았고, 주말의 경우에는 선호여가 수행여부와 관계없이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높았다. 여가수행도의 경우에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수행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의 경우,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모두 보통으로 응답하였고 전기노인의 여가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가변화요구도의 경우 선호여가 수행여부나 요일에 관계없이 전기노인의 여가변화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의 응답 점수는 변화하고 싶지않음에 가까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만족을 향상시키고 여가수행을 지속하기 위한 여가제약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건강관리제도 도입과 같은 실천적인 움직임이 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현황이나 유형분석에서 더 나아가 여가참여에 영향을 주는 주관적 요소 등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조사척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performance according to whether elderly people are performing their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For the analysis, we used sample from the 6th (2015) panal data a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data of 4,197 elderly (2,212 young-old and 1,985 old-old) were analyzed. As a result, weekday and weekend leisure time of the old-old (7.64 hours / 7.81 hours) than the young-old (6.83 hour / 7.39 hour) was increased and resting activites (over 70% of watching TV and listening to the radio)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the both elderly leisure activities. Leisure performance were higher in old-old who did not perform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during weekdays. Leisure performance on weekends was higher in old-old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preferred leisure time. Average of leisure performance was high in both groups and they responded leisure satisfaction was moderate. In the case of need for leisure change, young-old was higher than oid-old regardless of preference leisure performance and day of the week. However, the responses of the both groups are closed to those that do not want to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uld be practiced such as develomenting program and introduction of health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leisure constraints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of leisure activities for young-old and old-old. We also emphasize the need for a systematic survey scal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qualitative aspects of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subjective factors influencing leisure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