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장자의 생성론적 생명관이 담긴 독獨과 견독見獨을 고찰해 봄으로써, 유아교육에서 유아를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숙고해보고자 하였다. 장자는 일원론적 생명관에 토대하여 생명은, 생기가 유행하는 과정에서 타생명과 만나 얽히며 순간 드러난다고 봄으로써 그만의 역사성을 지닌 고유한 존재이며,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열린 존재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독獨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독獨인 존재를 보는 것을 견독이라 하였다. 견독은 얽혀진 시・공간을 고려하여 사건층위로 드러난 존재를 보기를 지향하며, 이를 위해 목자 역시 모든 것을 열어두고 독獨인 존재로써 보라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장자의 생명론적 관점으로 살펴본 유아는 모두 다른 고유성을 지닌 독獨인 존재이자, 만물과의 얽힘과 변용에 유연한 존재로 볼 수 있다. 아울러 견독을 통해 생명적 존재인 유아를 보는 시선의 방향을 고찰하면, 유아교육자는, 유아를 보는 자신 역시 단독적 주체임을 자각하고, 각각의 고유성을 지닌 독獨인 존재로서의 유아를 보기 위해 차이를 담는 시선을 갖추어야 하며, 모든 순간을 역사적・맥락적으로 얽힌 사건층위로 보고, 마주한 유아와 얽히며 직관적 시선으로 감응하여 이해하기를 요청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를 보는 기존의 교육적 시선에 대해 재숙고해 봄으로써, 생명적 존재인 유아를 보는 윤리적 시선을 고찰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ok(獨) and Kyoundok(見獨), which contain the Chuang-tzu’s perspective on life and to explore new ways of looking at children. Chuang-tzu thought that each life is a unique being with its own historical character and open to everywhere. And Chuang-tzu proposed it as Dok, and suggested that seeing Dok is Kyoundok. Kyoundok seeks to see the presence on the level of the event considering the entangled temporal, spatial. To do this, Chuang-tzu also suggests that viewers are Dok and that everything should be viewed as Dok. As a result, The child is a Dok with a different identity, and a flexible existence in entanglement and transformation with all thing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gaze to see the children through Kyoundok is as follows.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aware that they themselves are also Dok. and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to see the children as a Dok who has each unique identity. Furthermore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look at every moment in historical and contextual events and should intuitively meet with the child and respond to the chil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s the ethical point of view of the child by reviewing the educational view of the existing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