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백이⋅숙제는 유교문화권 국가에서 충절의 상징으로 확고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忠節의 상징 백이⋅숙제 이미지는 사마천의 《사기》 <백이열전>에서 비롯된 것이다. 武王은 시호를 文王이라고 추존한 아버지의 위패를 수레에 받들어 싣고 동쪽으로 殷나라 紂王을 정벌하려 할 때 백이와 숙제는 “부친이 돌아가셨는데 장례는 치르지 않고 바로 전쟁을 일으키다니 이를 孝라고 할 수 있습니까? 신하된 자가 군주를 시해하려 하다니 이를 仁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라며 주무왕의 말고삐를 잡고 諫言을 한다. 이 장면으로 인해 백이⋅숙제는 不事二君하는 절개의 대명사로 중국은 물론 조선, 일본, 월남에까지 그 이미지가 퍼져나가게 된다. 본고에서는 《사기》 <백이열전> 이전에도 충절의 이미지가 있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사기》 이전 문헌인 유가의 《논어》와 《맹자》, 도가 문헌인 《장자》, 법가 문헌인 《한비자》, 잡가 계열 문헌인 《여씨춘추》 등을 살펴 백이⋅숙제가 어떤 형상으로 등장하고 있는지, 충절의 이미지는 존재하였는지 알아볼 것이다.


Baek-yi and Sukje have a firm image as a symbol of loyalty in Confucian culture-oriented countries. Their symbol image of the loyalty which we know well comes from Shiji ‘Boyiliezhuan’ of Sima Qian. When King Wu tried to punish the tyrant King Zhou with his father’s memorial tablet, which was named King Wen, on the cart, Baek-yi and Sukje took the horse reins of King Wu and said, “Your father died, but you didn’t hold a funeral and started a war right away? Can you call it a ‘Filiar Piety’? Can you say that it’s ‘Benevolence’ that a servant is trying to assassinate the king?” Because of this scene, Baek-yi and Sukje became a icon of loyalty and this image spreads not only in China but also to Korea, Japan, and Vietnam. In this paper, I examine whether there was an image of loyalty even before Shiji. To do this, I compare record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Mencius, Zhuangzi, Hafeizi, and Lvshichunqi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