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의 경학 연구에서 이루어졌던 경학의 연구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7세기 조선 후기에 이르러 경학 체계는 강력한 체제 유지의 정통 이념으로 주자학이강화됨과 외부로부터 도입된 새로운 사상 조류 즉 양명학의 확산과 서학에의 관심 등으로 도학·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대두하여 주자의 경학 체계에 대한 재해석의 필요 및 체계의 재검토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였다 특히 정조 연간에는 중국에서 확장일로에 있던 고거지학(考據之學) 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 외에 서학과 좀 더 앞서 도입된 양명학에 대한 비판이나 극복 혹은 옹호 등이 대표적인 양상이었다. 이러한 학문적격랑기에 경학사의 올바른 구성이나 경학의 연구 방법론에 대한 확립은 매우 중요하였다.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은 주자학을 기본 텍스트로 하여 계승되던 조선 후기 경학사에서, 군주이면서 학자이기를 지향하고 ‘우문일념’(右文一念)으로 문치에 주력하였던 정조의 규장각에 소속된 학자들을 통한 저술과 출판 기능 등 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론을 검토하는 것이다. 정조는 삼대 성왕들의 道가 공자를 거쳐 주자로 이어졌다고 여겼다. 따라서 주자를 존숭함이 바로 공자를 존숭함과 동시 유학을 지키고 정학을 옹호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를 학문 정책의 방향으로 잡았으며, 후대로 올수록 학자들의견해차로 인해 경전 원문에 대한 주석이 늘어나 논란에 휩쓸리는 상황을 좌시하지 않고주석을 배제하고 경서의 원문만 정리한 문헌을 보급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자학에 대하여 다소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반 성리학적(反性理學的)인 입장에서 경학을 연구하였으며, 사고의 합리적인 면과 주석의 실학적인 성향이 짙은 다산 정약용의 경학 연구방향을비교 검토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함을 목표로 하였다.


As for the condition of Jingxue(經學)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interpretational system of Jingxue, which had played a basic role as the standard of universal values in East Asia, was being re-interpreted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study of loyalty(義理之 學). In addition, in the 17th century, it was reinforced as a traditional ideology to maintain a strong system, and as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study of Tao(道學) and Chu-tzu's doctrine(朱子學) became influential with the spread of a new ideolog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at is, study of Yangming(陽明學) and growing interest in the western study(西 學), the necessity to re-interpret Chu-tzu's Jingxue(經學) system was emphasized and the movement to review the system were active. In particular, the interest in Gogeojihak(考據之學), which was expanding in China during Jeongjo's days, increased. In addition, criticism, overcoming or advocacy of western study and the study of Yangming that had been introduced a bit earlier were the representative aspects. In this academically tumultuous period, proper construction of Jingxue history or the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methodology of Jingxue were very important.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Jeongjo's research methodology of Jingxue, such as writings and publications through the scholars belonging to Kyujangkak of Jeongjo, who was a king and also pursued to be a scholar, and focused on literary rule of 'Wumunilnyeom(右文一念)’, in the history of Jingxue succeeded with Chu-tzu's doctrine as the fundamental text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Jeongjo thought that Tao(道) of three generations of sage kings was connected from Confucius(孔子) to Chu-tzu(朱子). Therefore, he believed that reverence for Chu-tzu was the very respect for Confucius and simultaneously, protection of Confucianism and support for Jeonghak(正學). Moreover, he chose it as the direction for academic policy, and didn't just sit back and watch the situation where the increasing annotations on the original text of Inhaekyungjeon due to the differences in scholars' opinions in the coming generations brought about controversy, and tried to disseminate the documents in which annotations were excluded and only the original text of Confucian classics were summarized. Furthermore, he studied Kyunghak from an anti-Confucian position with a rather critical view on Chu-tzu's doctrine. This study also aims at examining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in Jeongjo and Dasan Jeong Yak-yong, who had strong reasonable ideas and tendency of Shilhak(實學), through comparativ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