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소진의 세 가지 하위차원(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 비인간화, 성취감 결여)을 경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수도권 소재 복지관에서 현재 재직 중인 경력 10년 미만 사회복지사 316명이며, SPSS 확장프로그램인 PROCESS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표면행위는 소진의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를 경로로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위는 클라이언트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 결여를 경로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소진 예방과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관리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urface acting,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three sub-dimensions of burnout(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of the client,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the social worker. There were 316 social workers with less than 10 years' exper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d by using PROCESS which is an extension program of SPSS.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ac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path of the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ep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ith the path of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workers are in need of emotional labor management method about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o prevent burnout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