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생 비즈니스들이 제조, 출판, 학술연구, 지도제작,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들에서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특히 미디어 산업에서는 공간정보를 광고, 영화, 드라마, 레저, 관광을 포함한 문화콘텐츠와 연동하는 ‘공간문화콘텐츠’가 최근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등장한 국내외 주요 공간문화콘텐츠 비즈니스 사례 20건을 선별한 후 미디어 분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비즈니스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총 5개의 주요 변수들을 도출했다. 사례별 변수들을 입력한 사례 테이블을 대상으로 ID3 알고리즘 기반의 귀납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공간문화콘텐츠 비즈니스의 성공조건들을 도출했다. 토론부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공간문화콘텐츠 비즈니스 운영에 있어서 실무적 함의와 학술적 시사점, 그리고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Businesses that utilize spatial big data are increasing in a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publishing, academic research, geo-mapping, and education. Notably, in the media industry, ‘location-based cultural content’ that link spatial information with cultural contents including advertisement, movie, drama, and tourism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high value-added business. This study interviewed with the media experts to identify 20 major business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ontents that have appeared over the past ten years and then carried out an inductive analysis based on ID3 algorithm by deriving five key variables influencing business success and failure. Through this, we derive the success conditions of the location-based cultural content busines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section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domestic location-based cultural contents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