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적 영역에 나갈 수 없는 존재들은 어떤 방식으로 삶을 구가(求暇/歐歌)할 수 있을까? 공적 영역에 나갈 수 없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그러한 배제와 추방의 상황에서도 자신을 비롯한 쫓겨난 존재들의 삶을 드러내는 일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걸까? 이 논문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치 개념을 그 자신의 ‘파리아(pariah)’ 논의를 분석함으로써 ‘파리아의 정치’로 다시 해석하는 일을 통해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먼저 공적 영역에서 ‘보이지 않는’ 일의 의미를 ‘차별(discrimination)’의 구조를 중심으로 밝힌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유대인 파리아와 파브뉴 개념 분석을 통해 다루어질 텐데, 이 두 개념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오래된 사회적 차별의 표지로 재해석된다. 다음으로 「파리아로서의 유대인: 숨겨진 전통」에서 다루어지는 네 가지 파리아 형상을 차별에 저항하는 네 방식으로 해석한다. 이들 형상은 역사 속에서 삭제되거나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한 유대인 파리아의 정치적 경험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아렌트 정치 개념을, ‘드러남’과 ‘시작’이라는 그의 행위 개념에 대한 설명에 근거하여, ‘보이지 않는 자들의 존재 현시’와 ‘역사 없는 자들의 역사 생성’이라는 의미를 담은 ‘파리아의 정치’로 다시 쓴다.


How can those who cannot appear in the public realm have the lives? What does it mean to be not able to appear in the public realm? How is it possible to reveal the lives of the displaced persons including oneself even in the situation of the exclusion and exile?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which reinterprets Hannah Arendt’s concept of politics as “the politics of the pariah” by analyzing her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pariah. Fisrt, I examine the meaning of “being invisible” in the public realm by focusing on “the discrimination”. This considers thoroughly Arendt’s concepts of the pariah and the parvenu. The two concepts are reinterpreted as the same old signs of the social discrimination which remains ceaselessly to this day. In the second place, I interpret four figurations of the pariah which Arendt examined in 「The Jew as Pariah: A Hidden Tradition」 as four ways to resist the discrimination. These figures reveal the political experience of the Jewish pariah which is eliminated or overlooked in the history. Consequently, in this context of ‘revelation of those who are invisible’ and ‘rewriting history of people without history’, on the basis of Arendt’s concept of political action of “appearance” and “beginning”, I reinterpret her concept of politics as “the politics of the pari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