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생애 초기의 외상과 박탈로 인한 어려움들을 가진 내담자들을 단지 진단분류와 증상으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내면의 존재 경험으로부터 이해하고, 그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접근을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위니캇의 ‘환경에 의한 침범’이라는 개념은 욕구 갈등으로 개념화되는 신경증 보다 한층 깊은 병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싹트는 자아의 발달을 침범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모성기능의 반복적인 실패는 유아에게 외상과 함께 치명적인 자기의 결손을 초래한다. 이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은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을 방해 받지 않는 치료적 공간, 곧 안아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특별한 형태의 치료적 적응은 손상된 자기의 보상과 회복을 가능케 해줄 뿐 아니라, 자기 안의 사랑과 공격성을 발견하도록, 즉 진정으로 살아있고 사랑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아주기의 임상적 중요성을 개인의 살아있음의 감각과 참 자기의 확립 그리고 변형의 가능성이라는 핵심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존재의 최초의 경험으로서 살아있음을 붙들어주는 일차적 모성 몰입으로서의 안아주기와, 그것이 어머니와 유아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배경적 현존으로서의 안아주기와, 그것의 내면화가 가져오는 변화를 탐색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이 박탈당한 결과로서 혼돈과 의미 없음을 안아주는 분석적 환경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또한 왜곡되고 파편화된 삶의 내면을 어떻게 접촉하고, 살아있음을 위한 이들의 분투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거짓자기로 살아가는 이들의 내면을 이해하고, 이들의 존재하지 않음을 어떻게 안아줄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안아주기의 임상실제에서 직면하게 되는 이슈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목회상담자로서 우리에게 주는 도전들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필자의 간략한 사례 예시들은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이 방해받은 삶의 양태들을 이해하고, 안아주기가 임상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고자 제시되었다.


Donald Winnicott's concept, 'impingement by the environment,'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deeper pathology than neurosis. According to him, maternal failure to insulate the infant's budding self from impingement results in trauma and deficit of self. He suggested a metaphor of 'holding', which means providing an analytic environment that does not interrupt but facilitates clients' vulnerable 'being' and 'being alone' to resume their maturation. This special therapeutic adaptation assists clients to find their spontaneity so that they can be really alive and love as well as compensate and recover their disrupted self. This study aims to explore several dimensions of 'holding'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along with one's senses of being, being alone, and becoming one's true self. Holding is explored as a 'primary maternal preoccupation' with its significance for both mother and infant; and as a 'background being' and the possible changes its internalization brings. For clinical implications, holding confusion and meaninglessness are discussed; holding distorted and fragmented self; holding struggles for being; holding 'not-being.' Some critical issues in the clinical practice of holding are discussed as well as challenges for therapists. Some clinical vignettes from the author's cases are given to illustrate the disrupted being and being alone, and how to hold in a therapy s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