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 안동 묵계마을과 중국 길림성 수남촌의 장담그기를 비교 연구하여 두 문화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밝혀보려고 한 것이다. 두 마을은 장담그는 절차 중 재료선택, 메주쑤기와 띄우기, 장담그기, 간장뜨기, 장관리 등과 같은 주요 과정에서 공통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두 마을은 전통적 장담그기의 행위를 유사한 맥락에서 전승하고 있지만, 두 마을 장담그기의 방식과 행위를 세밀하게 분석하여 보면 많은 차이점이 있다. 장담그기를 통해 드러난 두 문화의 특성과 공통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차이점에서 생기는 문화접변과 적응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담그는 방식은 자연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된 생활환경, 특히 주거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전승되고 있다. 한국의 묵계마을은 추운 계절과 외부 환경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양지에서 장을 담그고 관리하므로 양지 중심의 발효법을 발전시켰다. 반면 위도상 한국보다 북쪽에 위치한 수남촌은 가옥 안에서 장을 담그고 관리하므로 음지 중심의 발효법을 발달시켜 왔다. 둘째, 한중수교 이후, 수남촌 주민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장을 담그기보다 한국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된장을 만들어 내었다. 새로운 장은 전통적 토간장과 토된장을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토된장의 숙성과정을 단축하여 만든 막장이다. 한편 묵계마을의 주민들은 사회문화 변동에 조응하여 된장의 형태를 변화시켰다. 즉, 간장이 많은 물장을 담가 식용하다가 간장이 적고 품질이 좋은 밥장을 만든 것이다. 이런 현상은 두 마을에서 전통적 간장의 소비가 감소되고 있는 점과, 전통적 간장이 중국에서는 국가간장으로, 한국에서는 왜간장으로 대체가 가능해졌다는 점과 연관된다. 셋째, 장담그기와 관련된 속신에 나타난 종교적·의례적인 현상은 두 문화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두 마을에서 전승되는 장담그기와 관련된 속신은 주로 주민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메주쑤기와 띄우기, 장담그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메주띄우기와 장담그기가 장담그기의 문화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뜻한다. 두 마을이 처한 생활환경과 사회문화적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장과 관련된 속신에 부여하는 해석의 의미가 다르게 된다. 이것은 장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부여하려는 의식에서 발현된 것일 수 있다. 장담그기 문화를 통해서 볼 때, 묵계마을은 가신신앙에 바탕을 둔 유교적 의례를 강조하고, 수남촌은 가족 또는 마을주민들의 죽음과 관련된 상례와 연관시켜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 넷째, 두 마을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주민일수록 장에 의존하는 정도가 크고 주민들의 생활방식이 일상음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장담그기를 중요시하는 주민들의 의식은 장담그기가 갖는 문화의 의미가 실로 지대함을 의미한다. 수남촌 주민들이 묵계마을 주민들보다 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장담그기에서 주민들의 민족적 정체성이 농후하게 작동한다는 뜻이다. 다섯째, 신기술 도입이 장담그기에 미친 영향이다. 수남촌에서처럼 장 담글 때 사용하는 기계의 도입은 장의 종류뿐만 아니라 담그는 방식자체를 바꾸고 있다. 그 기계는 메주를 띄우는 방식, 장담그기와 숙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This is the comparative study of paste making between Mokgye Village of Andong, Korea, and Sunamchon Village of Jinlin Province, China, in a way of analyzing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the two cultures in a way of displaying the implications. In the paste making, these wo villages have certain common characteristics of paste making procedure, such as, ingredient selection, meju (fermented soybean lump) making, paste making, ganjang (soy sauce) making, paste management and others. These two villages have handed down the traditional paste making activities in similar context., but if the pastes are analyzed by classifying in details for the method and activity of paste making in those two villag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ing is the summary of acculturation and applicability arising from what would be characteristics and common points of these two cultures, and different points in particular of the two cultures emerged through the paste making of those two villages. First, the method of paste making is handed down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ving environment that has been influenced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factors, particularl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okgye Village of South Korea has advanced the sunny area-oriented method of fermentation since paste making since it selectively uses the cold winter and external environment to develop to make and manage the pastes in the sunny area. On the other hand, the Sunamchon Village that is located on the further northern part compared to South Korea has developed the shade area-oriented method of fermentation since it makes and managed the pastes inside the residence. Second, after establishing the Korea-China diplomacy, the Sunamchon Village residents have made new pastes with the influence of Korea rather than making paste in traditional method. The new paste is the makjang (all-purpose paste) made by shortening the ripening process of todoenjang, not the traditional toganjang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todoenjang. In the meanwhile, the Mokgye Village residents have changed the type of doenjang by responding to the socio-cultural changes. In other words, it has consumed liquid paste with significant amount of the soy sauce and made babjang (soy sauce made with a lot of meju) with less soybean sauce with higher quality.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point that consumption of the traditional soy sauce is declining in these two villages and the point of having the traditional soy sauce available to replace with the Japanese soy sauce in Korea. Third, the religious or ritual aspects phenomenon appeared on the paste making related folk belief is granted with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in both cultures. The folk belief related to paste making that is handed down in both villages is conspicuously appeared in meju making and paste making that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se two villages. This type of phenomenon implies that meju making and paste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cultural factor of paste making. Since the two villages encounter with different living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the meaning of interpretation granted to the paste related folk belief would be different. This is a manifestation from the ritual to grant the implication that the paste is extremely important. Looking through the paste making culture, the Mokgye Village emphasizes the Confucius rituals based on the house spirit belief while the Sunamchon Village has the aspect of emphasizing the community awareness of the residents by relating to the funeral rituals related to death of family or village residents. Fourth, these two villages have more significant dependency on the paste as the economy declines more and the life styles of residents are closely related to ordinary food consumption. The recognition of residents that placed importance in the paste making implies that the implication of culture in the paste making is enormously immense. The fact that the Sunamchon Village resident have higher dependency on pastes that the Mokgye Village residents implies that the ethnic identity of residents is strongly operated in terms of paste making. And, fifth, it is the influence of new technology introduction on the paste making. As in the Sunamchon Village, the introduction of machines used in paste making has changed not only the type of paste but also the method of paste making as well.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machine has influenced on the method of paste making for ripening the meju and ri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