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1922년에 발표된 길선주의 글 “平和의 曙(새벽)”에 나타난 ‘평화’와 ‘의’(義)의 관점을 개혁주의 신학 입장에서 분석하려는 데 있다. 그는 시편 85편 10절 말씀, “인애와 진리가 같이 만나고 의와 화평이 서로 입 맞추었으며” 이 구절을 본문으로 설정하여 이 글을 작성했다. 본 연구자는 길선주가 생각하는 평화와 의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宗敎界 諸名士 講演集』에 수록된 그의 “平和의 曙”를 고찰했다. 제3장에서는 그가 이해한 평화와 의의 고유한 속성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했다. 그 속성들로서는 ‘강인한 원초적 뿌리로서의 속성’, ‘마음에 심오한 좌소(座所)를 둔 속성’, ‘기만적인 언행(外飾主義)을 밝히는 정교한 잣대로서의 속성’, ‘점진적 확장성으로서의 내연(內燃)과 외연(外延)의 속성’ 등을 정리했다. 제4장에서는 <내적 신앙>으로서의 ‘기도’와 <외적 실천>으로서의 ‘평화와 의의 실천’이라는 영적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이 두 가지 관점에 주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길선주는 평화와 의의 실현에 대한 투철한 신념을 발휘하여 ‘믿음과 행위의 일치’(信行一致), 그리고 ‘지식과 행위의 일치’(知行一致)를 강조했다. 무엇보다도 그는, 하나님께서 자기 자신의 신성한 의지와 절대주권에 의해 이 땅 위에 진정한 평화와 의를 실현하실 것이라고 고백했다. 부연하여, 본 연구자는 향후 길선주의 ‘평화와 의’의 사상에 관련된 연구가 더욱 확장되어 이 주제의 연장선상에서 ‘기독교신앙과 독립사상의 조화’, ‘기독교신앙과 삼일독립운동’, ‘기독교신앙과 국가 정체성’, ‘평화와 하나님의 주권’, ‘일제 식민지배 시기에 대한 관점’, ‘정의론과 심판관(審判觀)’, ‘구국투쟁과 애국심’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연계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eon-Ju Gil’s views of ‘peace’ and ‘righteousness’ in his “Dawn of Peace”(1922)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Gil’s “Dawn of Peace” is based in Psalms 85:10. “lovingkindness and truth have met together; righteousness and peace have kissed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Gil’s views of ‘peace’ and ‘righteousness’, I searched for his “Dawn of Peace” which was published in Jonggyogyeoi Jemyeongsa Gangyeonjip(the sermon collection by great preachers of Christian community). In chapter 3, I attempted to explain the unique nature of peace and righteousness such as ‘the nature of robust primitive roots’, ‘the heart as the deep seat of peace and righteousness’, ‘the nature of precise criterion to determine treacherous words and acts’, ‘the nature of gradual expandability as a principle of internal combustion and external extension’, and so forth. In chapter 4, I concentrated on spiritual paradigms for ‘the prayer’ as <an internal faith> and ‘the practice of peace and righteousness’ as <an external practice>. Seon-Ju Gil laid great emphasis on ‘the consistency of faith and action’ an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ith a genuine belief in realization of peace and righteousness. First of all, he confessed that God will achieve true peace and righteousness here on earth by His own divine will and absolute sovereignty. In addition,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Gil’s other views of ‘peace and righteousness’ such as ‘harmony between Christian faith and thought of independence’, ‘Christian faith and Samil Independence Movement’, ‘Christian faith and national identity’, ‘peace and God’s sovereignty’, ‘view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ory of justice and views of judgment’, ‘struggle for saving the nation and patriotism’,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