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우리나라 전통시장은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아직도 현상유지에만 급급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유통현대화 과정 및 시설 등에서 계속 낙후되어 가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은 과연 전통시장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의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였다. Q방법론은 먼저 주제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다시 유형화하며 각 유형별 응답내용과 응답자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Q방법론은 응답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다양한 인식과 의견을 파악함으로써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도출하는 연구방법 이상의 방법론(methodology)이다. [연구결과]<유형 Ⅰ>은 ‘사람냄새강조형’으로, <유형 Ⅱ>는 ‘전통시장긍정형’으로, <유형 Ⅲ>은 ‘차별화육성지향형’으로, <유형 Ⅳ>는 ‘전통시장제약인식형’으로 명명하였다. 21세기 전통시장에 대한 소비자는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모두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는 대형마트와 더불어 5일장 또는 전통시장을 다시 한 번 떠올리며, 그들의 존재 이유를 생각해보게 된다. 과연 그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Purpose]The Korean traditional market has not been able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is still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cessity of diagnosis of consumers’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market. [Methodology]In this study, Q methodology, which is a subjective study was used. The Q method here identifies the respondents’ perceptions and re-types them to identify the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n addition, it is a methodology beyond the research method of deriving the results more deeply by grasping the various perceptions and opinions that respondents think. [Findings]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ype Ⅰ> is named ‘Human Enjoyment Tradition Market Type’ and <Type Ⅱ> is named ‘Product Positive Traditional Market Type’. <Type Ⅲ> is called ‘Discriminative Recreation Oriented Type’ and <type Ⅳ> is named ‘Traditional Market Constraint Recognition Type’. In other words, the analysis shows that consumers in the traditional market in the 21st centur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Implications] So, with the big marts near our life, we come to think about the reason for their presence again, recalling the five-day market or the traditional market. Let’s thinking about the existence reason of the traditional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