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연구에 대한 경험을 사례를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초등, 중등(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3인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연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하며,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는지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과 연구과정 및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인 스스로를 연구자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란 교수학습 및 생활지도에 대한 고민이라고 정의하였다. 교사가 연구를 하는 이유는 교과(학습)에 대한 학생들의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사의 효능감 및 전문성 신장과교사로서의 부담감 및 책임감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 둘째, 교사의 연구 과정은 문제의식과 목표설정, 수업설계, 실행, 반성, 공유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연구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교수설계의 어려움, 교사에대해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로 인한 어려움, 교사 분위기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각 교사의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던 이유는, 협력연구 경험여부와 중등교사가 경험하는 입시 위주의 사회적 분위기로 인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별, 국공립학교 및 부설학교 등으로 소속을 고르게 선정하여, 각각에 따른 차별화된 연구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확인하고, 연구의 주체자인 교사가 생각하는 교사연구자로서의 인식과 연구과정 및 어려움을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질적 사례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에 토대가 될 교사연구자에 대한 후속사례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to examine their research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teacher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Teachers’ research perceptions, process, and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how teachers perceive and conduct thei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researchers and related their research to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The objectives of the teacher’s research was to induce student interest in the subject, to improve their own sense of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and also to study the burde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teacher. Second, the research process of the teacher was done in the order of problem consciousness, goal setting,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reflection, and sharing. In the process,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design, the role society expects teachers to have, teacher atmosphere, and so on.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ach teacher were the co-operative research experiences of the school teachers,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i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qualitative case study in that it selected teachers evenly belonging to elementary and secondary, national public and attached schools, confirming the perception and difficulty of teachers as researchers in detail based on the actual teacher’s experience.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us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teacher as a researcher and suggests follow-up case studies on teac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