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응급실 근무자들의 성희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부산시 소재 10곳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근무 중인 근무자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제곱검정, t-검정과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희롱 인식정도의 차이는 연령, 학력 정도, 결혼상태, 직업, 근무경력, 근무형태, 고충처리기구 여부,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희롱 경험은 연령, 학력 정도, 결혼상태, 직업, 고용형태, 근무경력, 고충처리기구 유무,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희롱 인식은 성역할 고정관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성희롱 경험, 자아존중감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성희롱 인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직업, 성희롱 경험, 성희롱 고충처리기구, 자아존중감, 학력정도, 근무경력,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가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고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성희롱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factors that affects the sexual harassment recognition of the emergency room workers. The subjects are composed of 253 who are working at general hospital in Busan city. The question item at the scales were analyzed for mean, chi-square 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2.0. The results confirm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sexual harassment and sex role stereotype and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self-esteem.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sexual harassment recognition were age, marital status, job,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self-esteem, education level, career,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carry out.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implemented for the emergency room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