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와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와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88명이다.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 및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은 중간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먼저 의사결정능력 중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는 ‘정서활용능력’, 교육활동으로는 ‘상황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볼 수 있는 활동’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으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라고 요구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교사연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상황에 적절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으고 최적의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연수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I-city and J-city area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depending on questions were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was shown to be positive by and larg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was shown to be upper-middling. Lastly, when it cam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promot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emotional literacy’ and ‘ability to use situational proper communication techniques’ were most needed.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lead to the following facts. First, a program development and a relat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cess of gathering some situational alternatives and selecting optimal condition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o give chanc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mselves need to be provided. Third, through teacher training, concrete information related to decision-mak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