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알다/모르다’와 관련된 표현 문형을 비교검토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이란 개별 형태소의 의미 기능이 아니라 표현 문형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보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알다/모르다’ 동사는 어미 ‘-는지’, ‘-을지’, 의존명사 ‘줄’과 함께 사용된다. 한국어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사용양상은 어미나 의존명사의 쓰임새적 특징으로 기술할 것이 아니라 표현 문형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2장에서는 사전류와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관련 표현 문형을 검토하여 9 항목의 학습자용 표현 문형 목록을 확정하고 3장에서는 표현 문형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접근하면 어떤 의의를 찾을 수 있는지 밝혔다.


In this paper, I tried to confirm that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 should be presented not as individual morphemes but as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The meaning and form of the expressive sentence pattern should be analyzed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Only then can the educational sentence pattern items be determined. In order to confirm this, I examined the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related to ‘alda/moreuda’(to know/not to know) in the dictionaries and the textbooks, and draw out 9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to teach.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asic sentence pattern type that is closest to the basic meaning of ending or noun was distinguished from the extended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