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는 당대 학자들에 의해 동방이학의 조종으로 추숭을 받은 학자이다. 당시 그의 학문과 문학을 가장 잘 이해한 사람으로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있다. 그는 포은이 50세인 1386년(우왕 12)에 명나라에 봉사하면서 지은 시를 모아 엮은 책에 쓴 서문에서 포은의 시는 그의 학문이 진보하면서 다음과 같이 다섯 차례 변모하였다고 말하였다. 첫째, 포은이 젊은 시기에 지은 시는 지기(志氣)가 한창 날카로워 직시하여 맞설 자가 없었으므로, 굉사(宏肆)하여 방달(放達)하였으나 실천이 오래되면서 수렴이 더해졌다. 그 예로 그는 출사하기 한 해 전에 지은 「신축시월(辛丑十月), 정전국화탄(庭前菊花嘆).」에서 과거에 오른 이듬해에 10월이 되어서야 만개한 국화꽃을 바라보면서 발동한 날카로운 지기를 문학적 수사 없이 곧바로 펼쳤다. 둘째, 포은이 13년간 왕을 시종할 때에 지은 시는 의론을 헌납하고 왕의 교화를 윤색하였으므로 전아하여 모범이 될 만하였다. 그 예로 포은은 27세에 한방신의 종사관으로 정주(定州)에서 중양절을 맞아 지은 시에서 배원 정책을 펼친 공민왕을 도와 성인의 교화를 완성하겠다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이어 그는 31세에 고향인 영천에서 중양절에 영주부사 이용이 창건한 명원루에 올라 지은 시에서 권문세족의 토지침탈을 막고 민풍을 진작시켜 치국평천하를 구현하겠다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셋째, 포은이 39세부터 이듬해까지 언양에 유배 갔을 때에 지은 시는 우환을 당하였으나 의리와 천명에 안주하였으므로 화이(和易)·평담(平淡)하여 크게 원망하거나 심하게 탓하지 않았다. 그 예로 그는 40세에 해배되어 언양을 떠나 의성군의 관사에 머물면서 지은 시에서 봄을 맞아 만물이 생명을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의명의 분수에 안주하게 된 심경을 화이·평담한 언어로 형상화하였다. 넷째, 포은이 41세부터 이듬해까지 일본에 봉사할 때에 지은 시는 안색을 바로 하고 외교문서를 지어 국가의 아름다움을 선양하였으므로 명백(明白)·정대(正大)하여 급박하거나 좌절하는 기운이 없었다. 그 예로 그는 「홍무정사(洪武丁巳), 봉사일본작(奉使日本作)」에서 『춘추』의 의리사상에 입각해 오랑캐의 풍속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본을 교화시켜 천하 사방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다섯째, 포은이 모두 세 차례에 걸쳐 명나라에 봉사할 때에 지은 시는 본 것이 더욱 넓고 나아간 것이 더욱 깊어졌으므로 펼친 것이 더욱 높고 멀었다. 그 예로 그는 37세에 김구용과 함께 다경루에 올라 지은 시에서 평생 동안 도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얻은 호연지기를 세상에 구현하겠다는 경세의지를 형상화하였다. 이어 그는 50세에 남경에 도착해 빈관에 머물며 황제의 면대를 기다릴 때 지은 시에서 막중한 책임감과 고원(高遠)한 정신경계를 형상화하였다. 위와 같이 모두 다섯 차례에 걸쳐 변모한 포은의 시는 그가 익히 성인의 도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정도전은 이들 시를 당대 성리학을 익히고 실천한 신진사대부들이 지향했던 재도문학의 전범으로 인식하였다. 이 논문은 포은의 학문이 당대 학자들에 의해 동방이학의 조종으로 추숭을 받은 것 못지않게, 그의 시 또한 당대 문인들에 의해 재도문학의 전범으로 인식되어졌다는 사실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 1337∽1392) was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Eastern Neo-Confucianism by the contemporary scholars. Sam-bong(三峯) Jeong Do-jeon(鄭道傳1342∽1398)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who best understood Poeun’s literature and studies. At the preface of Poeun’s poetry anthology published with the poems composed during his service in Ming at the age of 50 in 1386(禑王 12), Sambong mentioned Poeun’s artworks changed five times according to his academic advancement as follows. 1. Poeun’s poems well represented his fluent mastery of writing as a very brilliant and sharp young man so that nobody dared to confront him, but his poems got more merged as a result of constant practice. For instance, in the poem titled “I Lamented Chrysanthemums in the Garden in October” written a year before he started serving the government, he directly unfolded his acute spiritual feelings without literary rhetorics, while appreciating belated blooming chrysanthemums in October, one year after his passing the Gwageo(科擧) 2. His poems were the epitome of refined grace as they had been composed for 13 years when Poeun proposed the national agenda and embellished king’s instructions as a government official. In one of the exemplary poems Poeun wrote at the age 27 when he went to Jeongzu(定州) with Han Bang-sin(韓方信) as Han’s Jonsagwan(從事官) on Double Yang Day, he expressed his will to complete the rehabilitation of the holy men and to make a successful and ideal country by aiding King Gongmin who has been taking policies against Won. In another poem he wrote on Double Yang Day at the age of 31 at Myeongwonu(明遠樓) built by Youngju(榮州) governor Lee Yong(李容), in his home town Youngcheon(永川), he also embodied his will to make prosperous and peaceful country through enlightening folks with mores and preventing the influential aristocrats from plundering lands. 3. His poems written when he was exiled to Eonyang(彦陽) at the age of 39 to 40, even tough he encountered misfortunes, didn’t blame or resent anybody but showed tranquility of accepting his fate as providence. For example, in the poem written at the official residence in Uiseong(義城), after his release from exile at the age 40, he embodied his feelings settled for knowing his place of order with peaceful and calm words, watching all living things come to life in spring. 4. His poems composed at the age of 41 to 42, when he visited Japan as a delegate of Goryeo(高麗), were just and clear without any haste or frustration as he created diplomatic documents and enhanced national glory. As an example, in the poem “ I Wrote This Poem When I Served in Japan in Jeongsa(丁巳),” he embodied the governing will to stabilize the world by enlightening the Japanese which has not been free from primitive culture based on the thought of righteousness in Chunchu(春秋). 5. His poems created when he served in Ming three times were deep and profound, because of his enlarged experiences and knowledge. As an example, in the poem written when he went up Dagyeonu(多景樓) with Kim Gu-yong(金九容) at the age of 37, he embodied his will to realize his great spirit which he had acquired through life-long discipline of morality. In another poem composed at the age of 50 while he was waiting for meeting the emperor at the guesthouse in Nanjing(南京), he embodied his heavy responsibility and lofty spiritual world. As the above, Jeong Do-jeon recognized Poeun’s poetry as a model of Literature of Do, moral philosophy that was pursued by nobility and gentry class people who habituated and practiced Neo-Confucianism.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view of the fact that it has proved Poeun’s poetry was perceived as the epitome of ‘Enlightenment Literature’ by the contemporary literary scholars as well as he was considered to be the forefather of the Eastern Neo-Confuc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