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희망교실 정책을 집행하는 교사들이 처한 직무환경과 대응 행위를 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활용해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희망교실 관련 자료 및 Lipsky의 일선관료제모형에 관한 문헌을 분석한후, 희망교실을 운영하는 일선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희망교실정책을 집행하는 교사들은 자원의 부족, 과도한 역할기대와 업무 수행의 고립, 평가의 어려움, 재량과 제약 사이, 권위에 대한 위협과 도전이라는 직무 상황 속에서 혼란과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들은 정책목표 단순화 및 대상의 수정, 프로그램의 반복적 운영, 인생멘토 역할기대 바꾸기의 대응 행위 패턴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희망교실 정책 개선을 위한 교육복지 프로그램 계획 및 집행 등 교사들의 정책수행 의지 및 역량 강화, 정책 참여자들 간 원활한 소통과 공유를 위한 시스템 마련, 지역사화와의 연계·협력 강화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conditions of work and coping behavior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Hope Class' policy using Lipsky's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Teachers running Hope Class policy programs are called street-level bureaucrats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in-depths interview with 3 teachers participating in Hope Class and literature review of the policy and Lipsky's model were conduct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eachers were often under the conditions; limited budget, time,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the excessive expectation of role and an isolated work environment; the ambiguous goal of the policy and the non-voluntary students; considerable discretion in determining the recipient, planning the programs, spending budget, and reporting; emotional threats and challenges to teachers' authority. To cope with such conditions, teachers showed the following coping behaviors; redefining the goal of policy and changing the service recipient students; running repetitive programs; modifying the role expec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olicy suggestions are made to secure the qualitative growth of Hope Class;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ies required to plan and operate programs of education welfare; systematic support for sharing informa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of vision and goals of the policy; building cooperative network with local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