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 지방재정사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지역 행사·축제 사업의 타당성을 경제적 효율성 기준으로 평가해보고 이러한 효율성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한정된 자원으로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목적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강원도 지자체별 행사·축제 관련 원가회계정보 등을 활용하여, 개별 행사·축제의 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기법 중 CCR모형과 BCC모형에 기초하여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패널토빗(panel tobit) 분석을 통하여 지역 행사·축제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 내부적 관리운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투입요소를 총원가(비용), 행사·축제경비 액수 및 행사·축제경비 비율로, 산출요소를 사업수익으로 선정하고 DEA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2-2016년 강원도 지역 행사·축제들의 효율성에는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며, 특별히 행사·축제의 성격 상 산출물인 사업수익이 전혀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지역 행사·축제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패널토빗 회귀분석으로 추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행사·축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리운영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the efficiency of local events and festivals of Gangwon Province in South Korea (2012-2016)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paper compares the efficiency score calculated by DEA and examine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score. The findings of the paper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manage the efficiency of local events and festiv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