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실천 정도 및 교육 경험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경기도 안양시, 부천시,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47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정보주체로서의 개인정보 관리 실천에 있어서 PC 내의 정보 관리나 웹사이트 가입 시 이용 약관 숙지 등에 비해 본인의 공인인증서 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정보처리자로서의 관리 실천에서는 보육업무와 관련된 자료 백업이 가장 실천되지 않고 아동 개인정보의 출력물 파기는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및 경력에 따라 관리 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개인정보보호 교육에 대한 경험과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자가 62.8%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에 1번 개인정보보호교육을 실시하기를 원했고 집체 교육 및 집체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병행 형태를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접근성 높은 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개인정보가 잘 관리되지 못하는 측면을 파악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degree of practi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and need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78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City, Anyang, Bucheon and Cheonan, South Chungcheong-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s the subj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information, childcare teachers are well acquainted with the terms of use when managing information in PC or subscribing to websites. However, they do not manage their personal certificate well. Second, when we look at management practices a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data backup related to childcare work is not practiced the most.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intout of child personal information is well done.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management level according to age and caree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teacher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62.8%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have any education. They wanted to conduc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raining once a year. And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he parallel type of collective education and collective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the m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forms of accessibility education active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pprove aspects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not well man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