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변별자극을 통한 자기관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제한된 반복행동과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고등학생에 대하여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와 조건변경 설계의 혼합 설계 방식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의 종속 변인인 제한된 반복행동은 의식적으로 동일성을 고집하는 행동으로 이동 시 자신이 남보다 먼저 가고자 하는 행동이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학생의 자기관리가 제한된 반복행동과 대체행동인 자기통제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그 효과가 일반화가 가능한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된 반복행동은 이동 시 남보다 먼저 가려는 행동으로 제한하였고, 대체행동인 자기통제는 안전하게 동행인과 이동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기관리는 문장 따라 말하기와 자기 교수이다. 연구는 사전인터뷰와 관찰,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변별자극을 통한 자기관리는 제한된 반복행동을 감소시켰고 자기통제를 증가시켰다. 또한 자기통제가 유지뿐만 아니라 상황간, 대상자간 일반화가 나타났다. 이는 자기관리를 통해 일상에서의 제한된 반복행동으로 인한 어려운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보다 독립적으로 자기통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자기관리는 더 많은 참여자, 상황조건 등의 변인을 확대시켜 연구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trategy utilizing discrimination procedures on restrictive repetitive behavior and self-control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research was designed in use of mixed form of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and changing condition design. The restrictive repetitive behavior,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the repetitive one that is inadvertently emitted ahead of mustering control power to avoid the same, then returning in sticking to the same. The study purports to exhibit both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 and increase of alternative behavior, then toward generalization in two ways. Target behaviors are defined as compulsive behaviors that would burst out, e.g. bolting just before they are supported to walk forward as an alternative behavior of bolt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equence of preliminary interviews, observation,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phases. Self-control, which showed low incidence in the baseline, showed rapid behavior change after intervention, 100% increase in maintenance, and effective generalization as vice versa with restrictive repetitive behaviors. which showed low incidence in the baseline, showed rapid behavior change after intervention, 100% increase in maintenance, and effective generalization. In conclusion, self-management through discrimination procedure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ing restrictive repetitive behavior and on increasing self-control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out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ph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