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에 있어 바탕면(support)의 중요성을 강조한 안-마리 크리스탱의 이론에서 단서를 얻어, 이상(Yi Sang)이 그린 박태원(Pak Taewon)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의삽화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리는 먼저 1930년대 문화사적맥락에서 이 삽화의 의미를 고찰한다. 그것은 첫째, 이 삽화는 텍스트 공간에 이미지가 대량으로 삽입되어 독자의 인쇄물 독서 습관에 큰 변화가 있었던 시대의산물이라는 점, 둘째, 당시 신문의 학예란은 일반 대중을 위한 작품보다 좀 더섬세한 분석이 필요한 예술적 실험의 장이었다는 점, 셋째, 삽화가 이상과 소설가 박태원은 <구인회>라는 예술공동체의 일원으로 모더니즘적 예술관을 공유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그림 속 요소들이 놓여 있는 바탕면을 읽는 독서 공간의 분할과통합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상의 화면 구성을 분석한다. 독서 공간의 분할과관련해서는 첫째, 이질적 요소들을 한 화면에 배치함으로써 발생하는 화면 분할의 효과, 둘째, 영화적 기법의 차용으로서의 줌-인, 줌-아웃을 통한 화면 분할, 셋째, 판화의 양각와 음각 기법을 활용한 바탕면의 흑백 대비를 통한 분할을 다루었다. 공간의 통합 방식으로는, 첫째, 바탕면 혹은 독서 공간의 겹침을 시도함으로써 얻는 통합의 효과와 둘째, 이미지의 시각적 울림 효과로서 시각적 운(rhyme)과 리듬감을 분석하였고, 셋째, 문자와 이미지의 공존과 문자가 놓인 공간의 변화를 통해 얻는 통합의 효과를 다루었다. 이와 같은 삽화의 지면 분할과 통합 기법은 이상(Yi Sang)과 박태원(Pak Taewon)의 협업에서 모더니즘적 기법이 어떻게 시너지효과를 낳았는지 이해하게 한다. 또, 추후 시각성과 공간성이 두드러지는 이상(Yi Sang) 초기시의 페이지 구성 원리를 분석하는 데에 훌륭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draws a clue from the theory of Anne-Marie Christin,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images, and try to examine holistically Yi Sang’s illustrations for Pak Taewon’s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We first examine the meaning of this illustration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history of the 1930s. The first is that this illustration is a product of a time when images have been inserted into the text space in large quantities and the readers' habits of reading have changed greatly. Second, the curriculum of the newspapers at that time required more detailed analysis than the works for the general public. Third, Yi Sang and novelist Pak Taewon shared a modernistic artistic view as a member of the art community called Nine People's Group. This paper analyzes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in two ways, the division and integration of the reading space to read the background on which the elements in the painting are placed. As for the division of the reading space, there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ffect of screen division resulting from the ‘assemblage’ of the heterogeneous elements on one screen; second, the screen division through zoom-in or zoom-out as borrowing of cinematic technique; Third, the division of the background using black and white contrast. As for the integration of the reading space, there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ffect of the integration obtained by attempting to overlap the background or reading space; second, visual luck and rhythm as a visual echo effect of images; third, the coexistence of characters(letters) and images. The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of such illustrations allows Yi Sang and Pak Taewon to understand how modern techniques have produced synergies. In addition, We expect that it will provide a good clue to analyzing the page composition principle of Yi Sang early period in which visuality and spatiality are prominent l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