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전회 이후 하이데거 철학의 근본 목적이 현존재의 존재의 역사성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많은 하이데거 연구자들은 하이데거의 주저인 『존재와 시간』이 현존재의 존재의 본래적 역사성을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고 간주한다. 실제로 『존재와 시간』은 현존재의 존재의 본래적 역사성에 대한 상세한 해명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존재와 시간』이 주로 현존재의 존재의 근원적 양식의 하나인 일상성의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물론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가 본래적 자기를 되찾을 수 있는 존재론적 가능성으로서의 현존재의 죽음의 선구성을 언급한다. 그러나 그것은 간략한 설명에 그칠 뿐으로, 현존재가 근원적으로 역사적인 존재자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도로만 제시되어 있다. 『존재와 시간』에 따르면 일상성 역시 일종의 역사성, 즉 비본래적 역사성이다. 존재론적으로 참된 예술과 시는 본래적 역사성을 회복할 현존재의 가능성의 드러남이다. 후기 하이데거의 철학은 예술과 시가 자신의 고유한 죽음을 본래적인 방식으로 넘겨받을 수 있는 현존재의 가능성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잘 드러낸다. 물론 이것은 『존재와 시간』에서 제시된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구분이 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자신의 고유한 죽음을 본래적인 방식으로 넘겨받을 수 있는 현존재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는 결국 현존재의 존재의 실존론적 구조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을 요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바로 『존재와 시간』에서 수행된 것이다.


The main idea of this paper is that Heidegger’s later philosophy after the socalled ‘turn’(Kehre) should be regarded as an endeavour to develop an ontological analysis of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Dasein’s being. Many Heideggereans believe that Heidegger’s major work Being and Time faile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Dasein’s being. In fact, it is true that Being and Time does not deliver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Dasein’s being. But we should not forget that Being and Time mainly concentrate on the analysis of everydayness as an fundamental mode of Dasein’s being. Of course, in Being and Time Heidegger refers to Dasein’s anticipation of his own death as an ontological possibility to recover his authentic self, too. But it is only a brief background information which aim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at Dasein is an fundamentally historical being. According to Being and Time, everydayness is a mode of historicity, namely an unauthentic historicity. And art and poetry, understood ontologically, are the revelation of Dasein’s possibility of recovering the authentic historicity of his ownmost being. Heidegger’s later philosophy shows us clearly that art and poetry are based on Dasein’s possibility to take over his own death authentically. This means, of course, that Heidegger’s distinction between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in Being and Time still stands in his later philosophy, too. And we should not overlook that understanding Dasein’s possibility to take over his own death authentically requires an ontological analysis of existential structures of Dasein’s being, which is carried out in Being and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