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급함에 따라 자유학기제 참여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도의 발달 수준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4차년도(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중차분법과 패널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년에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2013년 대비 2015년과 2016년에 국어, 영어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과의 경우는 2013년 대비 2015년의 학업성취도 향상이 더 높고, 2013년 대비 2016년은 차이가 있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학생의 개인 내 성취도의 성장에 대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관련성은 국어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영어과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시기에 가장 높고, 수학과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부터 학년이 오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변인 외에도 학업성취도의 변화와 관련 있는 학생 및 학교요인이 발견되었다.


Purpose: In this study, the purpose was to analyze whether or not participation i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affect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s students are promot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We used the 1st and 2nd year data from the 5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3rd and 4rh year data from 1st and 2nd grade in middle school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and we employed the DID method and fixed effect model of panel analysis. Findings/Results: 1)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ree-semester system displayed higher growth in terms of achievement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during their 1st year of middle school compared to their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achievement growth in Korean and English during their 2nd year in middle school. 2)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and academic achievement growth within student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Korean, but for study of English, the greatest level of, significance was found relative to the other subjects. In Math, significance rose starting from 5th grade and consecutively onto higher years. And other student and school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change were found as well. Value: This study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ree-semester system and socio-economic status have associ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