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푸코의 마네 회화론을 규율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하는 것이다. 푸코는 1971년 튀니스 대학에서 마네의 회화를 공간, 조명, 관람자의 자리를 중심으로 강의 했다. 푸코는 마네가 닫히고 잘린 공간, 정면광, 관람자 위치의 재설정으로 기존 회화의 문법을 근본적으로 파괴했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회화란 열리고 완성된 공간, 입체감을 위한 화면 안의 측면광, 화면 중앙의 관람자 위치를 고수한다. 푸코가 마네의 회화에 부여한 가치는 인상주의의 선구가 아니라 르네상스 이후 고수된 회화 문법의 파괴이다. 짧은 푸코의 강연 녹취록은 마네 해석에 큰 파장을 던졌다. 이후 마네는 인상주의의 선구자일 뿐만 아니라 회화에서 현대성의 정초자로 조명되었다. 나는 이러한 해석에 동의하지만 더욱 흥미로운 점도 있다고 생각한다. 푸코가 마네의 회화에서 강조하는 강조점들은 파놉티콘 혹은 규율체계와 호응하기 때문이다. 물론 푸코의 저서에서 파놉티콘이 명시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1975년 출판된 『감시와 처벌』에서 이다. 그러나 규율체계에 관한 아이디어는 『광기의 역사』(1961년)에서 이미 다루어졌고, 푸코가 클레르몽 대학에서 1960년에서 1966년 사이에 행한 강의는 형벌 시스템에 관한 것이었다. 푸코는 마네의 회화론을 강의할 때 이미 감금형과 감시체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다. 푸코의 마네 회화론을 판옵티콘과 관계 속에 재해석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푸코가 마네의 회화에 주목할 때 규율체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이미 갖고 있었는지 추적하는 것이다.(Ⅱ장) 푸코가 마네 회화론을 강의하기 이전의 저술과 강의 기록 그리고 전기 등이 검토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감시와 처벌』의 아이디어는 『광기의 역사』에서 기본적인 아이디어가 형성되었고, 이후 대학의 강의에서 이미 형벌 시스템에 대해 다루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둘째, 마네의 회화론을 공간 구성의 관점에서 규율체계와 갖는 유사성을 검토한다.(Ⅲ장) 이 과정에서 푸코가 마네의 닫히고 잘린 공간 구성에 관심을 가진 것은 규율체계가 삶의 미시적인 영역을 구획하는 과정과 상응하기 때문이라는 가능성을 논한다. 셋째, 마네의 화화에 등장하는 정면광과 감시자 시선의 연결을 시도한다.(Ⅳ장) 이 과정에서 정면광을 시선과 관련짓는 푸코의 관심은 어떤 어두움도 없이 밝혀진 투명한 감시 체계와 상응할 수 있음을 논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Foucault’s Manet painting theory in relation to discipline system. In 1971, Foucault lectured on Manet’s paintings at the University of Tunis, focusing on space, lighting, and spectator positions. Foucault argued that Manet was fundamentally destroying the grammar of traditional paintings rules by resetting closed and cut-off space, frontal light, and spectator locations. The traditional paintings show opened and the completed space, the side light inside the screen to reveal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the position of the viewer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Foucault’s value to Manet’s paintings was not the pioneer of impressionism, but the destruction of the grammar of painting that had persisted since the Renaissance. The short Foucault lecture transcript threw a big wave on the interpretation of Manet. Manet was not only a pioneer of Impressionism, but also a drafter of modernity in painting. I agree with this interpretations, but I think there are even more interesting points. The emphasis that Foucault emphasized in Manet’s paintings could be in response to the Panopticon or discipline system. Of course, in Foucault’s book, the explicit emergence of the Panopticon is in the 1975 edition of Discipline and Punish. However, the idea of ​​a discipline system was already addressed in Madness and Civilization(1961), and the lesson Foucault did at Clermont University between 1960 and 1966 was about the penal system. Foucault had already had ideas about the detention system and the surveillance system when he conceived of Manet’s painting theory.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reinterpreting Foucault’s Manet painting theory in relation to the discipline system. First, I would trace whether Foucault already had ideas about the discipline system when he thought about Manet’ paintings (Chapter 2). The writings, lecture records, and biography before Foucault lectures on Manet's paintings would be reviewed. In this process, the idea of Discipline and Punish was found to be a basic idea in Madness and Civiliza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lecture of the Clermont university has already dealt with the punishment system. Second, I would examine the similarity of Manet’s painting theory with the discipline system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Chapter 3). In this process, I would argue the possibility that Foucault was interested in Manete's closed and cut-off spatial composition because the discipline system corresponded to the process of micro-life compartmentalization. Third, I try to connect the gaze of the monitor with the frontal light that appears in Manet’s painting.(Chapter 4). In this process, Foucault’s interest in associating frontal gaze with eye gaze may correspond to a transparent surveillance system that reveals everything Demonst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