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역이 겪고 있는 문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은 그 지역의 주민일 것이다.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사람은 지역의 애착심을 가진 지역의 주민일 것이다. 지역애착심은 지역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의 애착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하여 공공문화시설의 이용을 통한 여가만족과 지역애착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지역애착을 조작적 정의를 통하여 자원봉사와 동호회 두 가지의 변수로 측정하였다. 이론적 확인을 통하여 연구모형을 2가지로 설정한 후 모형적합도에 기초하여 모형을 선택하고 가설결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애착심이 지역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다루지 않았던 공공문화시설의 이용과 지역애착심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공공문화시설을 통한 ‘여가의 만족‘이 의미 있는 지역애착심의 선행요인이었다는 점이다. 공공문화시설를 통한 서비스의 만족은, 전반적인 여가생활의 만족을 유발하고, 이를 통하여 긍정적인 산출물인 지역애착심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를 통하여 다시금 공공문화시설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분석결과를 통하여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 공공문화시설의 확충과 보다 나은 서비스의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최근 정부의 국민여가활성화계획이 수립된 만큼, 공공문화시설의 확충을 통하여 지역의 발전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It may be the inhabitants of the area that best know the problem that the area is experiencing. Anyone who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egion and want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area will be a resident of the local affectionate area. Local affection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community attachment through the use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local attachment was measured by volunteering and clubs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through previous research. Through the theoretical confirmation, the research model was set to two, and the model was selected based on the model fit and the hypothesis result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again that the local affe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first research. Especi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the local affection that was not covered by previous studies. Second, 'satisfaction of leisure' through public cultural facilities was the leading factor of meaningful local affection. Satisfaction with service through public cultural facilities was found to be a positive product, local affection, through satisfaction of overall leisure life.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was confirmed again. Third, through the analysis, we can suggest the necessity of expanding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providing better services for regional development. As the government recently established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pla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can be expected through expansion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