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춤의 예술미에 관한 해석학적 논의로 한국춤의 형상에 관한 객관적 준거를 공통 분모화하고 한국춤사위의 유형을 예로 살펴보고 있다. 즉 예술이 기호로서 존재하는 형상(구상적 형식)과 의미(내용)의 개념에서 한국춤의 미를기표와 기의의 구조와 동일한 맥락에 적용한 것이다. 그간 한국춤의 미학적 개념인 ‘신명과 해학, 정중동’ 등의 추상적 의미는 미 인식의 현상에 관한 해석의 고리들로 나열하기에 바빴다고 본다. 따라서 춤의 형상에 관한 미를 범주화하고, 한국미에 관한 현상학적 개념들을 보다 구조적으로 체계화하는데 기호학적 개념들은 유용하였다고 본다.


This study considers the objective criterion of the form of Korean dance as a common denominator and examines the type of Korean dance as an hermeneutical discussion about the artistic beauty of Korean dance. In other words, the beauty of Korean dance is applied to the same context as the sign and the structure of the symbolic in the concept of the form (conceptual form) and meaning (content) in which art exists as a symbol. Especially, I think that Korean dance was recognized as inner dance and I was reluctant to make a structural foundation about the abstract meanings of ‘Shin-myeong, Hae-hak, Jeong-Jung-dong’. Thus, by categorizing the structure of the figure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ne of the dances in that respect, we can see that semiotic concepts are useful in securing the objectivity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systematizing clear aesthetic conce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