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번역은 이데올로기적 행위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소통을 중재하는 역할을 맡는 번역사는 자신이 소속된 문화권과 번역물이 소비되는 문화권 사이의 이데올로기적 충돌이 일어날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을 구사하게 된다. 본고는 한국 드라마의 자막번역에서 이런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해결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된 인기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자막번역 양상을 민족주의와 반일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분석의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해 해당 장면에 사용된 동일 한국어 대사의 한영번역과 한일번역을 함께 비교하고 van Dijk의 이데올로기 사각구도를 적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의 부정적인 측면은 약화시키고 ‘그들’의 부정적인 측면은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번역자의 개입이 이뤄졌음이 확인되어 이데올로기 사각구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 같은 번역자 개입이 해당 문화권 독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Translation is an ideological act and it is not uncommon that translators as intercultural communicators make ideological decisions to resolve translation issues arising from ideological collision between cultures, particularly when they work with texts loaded with certain ideologies they subscribe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ranslators resolve such issues within the framework of van Dijk’s Ideological Square. The study compared Korean, English and Japanese subtitles of ‘Mr. Sunshine’, a popular Korean drama series streamed internationally on Netflix, and analyzed the strategies used in translating the elements of nationalism and anti-Japanese ideology. It found that the negative aspects of ‘us’ were de-emphasized, while those of ‘them’ were emphasized, consistent with the Ideological Square. How such intervention affects reader response requires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