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존하는 발해 사료에는 통일신라와의 전쟁과 경쟁이 크게 강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양국은 항상 적대적이었던 것으로 보아 왔다. 이것은 남북국시대의 설정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사료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교류의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발해의 주요 대외 교통로 가운데 신라로 가는 新羅道가 있었고, 발해 동경과 신라 국경도시 사이에 驛路가 개설되어 있었으며, 신라 국경의 장성에 교류의 창구인 炭項關門이 존재했다. 이들은 양국 사이에 상설적인 왕래가 있었던 사실을 보여 준다. 신라의 大祚榮 책봉, 당나라 사신 韓朝彩의 양국 방문, ≪삼국사기≫에 전하는 신라의 사신 파견 등은 모두 이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졌을 것이다. 일본 연구자는 長人國 설화를 토대로 신라인이 발해인을 異種族으로 인식했다고 주장하지만, 이것은 양국 국경지대에 거주하던 종족 집단을 가리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발해와 신라 사이에는 전쟁, 경쟁과 함께 교류도 이루어졌다.


The existing sources on Balhae emphasize war and competition with Unified Silla. As a result, both countries have always been seen as hostile. This also negatively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Period.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the sources, we can confirm the fact of the exchange. There was Silla Road going to Silla which is one of the five external transportation routes of Balhae, and Tanhang Gate, a window of exchange, on the Silla border. There were relay stations between the Eastern Capital of Balhae and the border city of Silla. These show the frequent conta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would have been through this route that Silla offered a government post to Dae Jo-young, and Han Jo-chae, a Tang Dynasty envoy, went from Balhae to Silla, and Silla sent envoys to the Northern Kingdom. Japanese researchers claim that Silla people recognized Balhae as a different ethnic nation, based on the tales of Jang-in State, but it refers to an small ethnic group living on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onclusion, exchanges between Balhae and Silla were also made with war and compe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