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정언명법과 가언명법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 있다. 도덕객관주의인 칸 트가 모든 도덕행위는 정언명법적 행위라고 말한 이래로, 도덕반객관주의자들은 도덕행위가 가언명법적 행위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도덕객관주의가 틀렸다는 것을 논증하려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모든 도덕행위는 가언명법의 조건절이 제시하는 도덕외적 목표달성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일 뿐이므로, 도덕객관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독립적 또는 본원적 도덕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논증이 잘못된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도덕행위를 명령하는 가언명법들, 또는 도덕적 가언명법들은 독립적 또는 본원적 도덕가치(즉 정언명법으로 표현될 수 있는 가치)가 존재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객관적 가치 없이는 가언명법적 행위들이 도덕행위로 이해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나아가 주장하기를, 이 주장이 칸트의 이론체계에 부합하며, 칸트가 말하는 정언명법은 어떤 구체적 상황에서의 도덕명령이 아니라, 모든 상황에서 행위자가 도덕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의지 또는 결심을 위한 명령이라는 칸트 자신의 주장을 재확인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cal and hypothetical imperatives. Since Kant, a moral objectivist, proclaimed that all mor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by categorical imperatives, moral anti-objectivists have tried to show that all moral activities are in fact practiced by hypothetical imperatives. This could disprove the objectivists’ tenet that there exist intrinsic moral values that are independent from non-moral values. The author argues that the anti-objectivists’ attempt is a failure. Moral hypothetical imperatives that demand to execute moral acts presume the existence of objective moral values, which can be expressed by categorical imperatives, without which the acts performed by hypothetical imperatives do not make sense as moral acts. The author further argues that this interpretation matches with Kant’s moral theory. The author also confirms that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is not to deal with a specific moral situation, but to command moral agents’ will or resolution, by which they must be able to perform moral acts in any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