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창의적 교구를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수업을 통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학업적 흥미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예비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학교현장에서 활용성을 높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G대학 특수체육교육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을 듣는 18명과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을 듣지 않는 18명의 학생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봉미미 등(2012)의 SMILES 학업적 흥미 척도와 고형일(2011)의 셀프리더십 설문지를 이용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t-test,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에 따른 학업적 흥미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 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교구 개발 및 적용 수업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 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수업을 통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는 폭넓은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특수교육대상자와 예비특수체육교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교구개발 및 적용수업이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tool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lass on academic interest and self-leadership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lass, academic interest and self-leadership test were carried ou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wice, before and after the class. SPSS 20.0 program was applied to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test before and after the class. Results: The participant of creative teaching tool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lass improved in academic interest and self-leadership.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roven that the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ademic interest and improving self-leadership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