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제주도와 통영에서 토지 수용과 수용소 건설 과정을 통해 주민들의 소개, 소개민 수용소 생활, 복귀 및 복구 등 주민공동체 변화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검토했다. 첫째, 포로수용소가 어떤 과정을 통해 설립되고 건설되는지를 분석했다. 두 지역은 후방지역이며 음용수의 수급이 원활하고 섬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제주도는 이미 포화상태의 피난지이며 제1육군훈련소와 두 곳의 비행장을 보유하고 있었다. 통영군 용초와 봉암(지금의 추봉도)은 거제도와 가까운 거리에 있었지만 군사기지가 없는 전형적인 어촌이었다. 둘째, 포로와 피난민 정책의 변화에 따라 기존 민간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수용소가 동시에 설립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어난 토지 수용과 주민공동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952년 4월 이후 포로 재분류에 따라 여러 지역에 새로운 수용소가 건설되었다. 하지만 수용소 추가 건설은 기존 민간인들을 ‘강제 소개’해야 하는 문제를 낳았다. 토지수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주와 이산은 주민공동체 변동을 가져 올 수밖에 없었다. 셋째, 소개민들의 복귀와 복구 및 배상 문제에서 토지수용과 공동체가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분석했다. 휴전협정 체결 전후 포로교환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소개당한 주민들은 다시 복귀해 마을을 복구해야 했다. 주민들은 국방부에 강제 수용된 토지를 ‘해제’하고 보상할 것을 요구했다. 소개민들의 복귀와 복구, 보상 문제는 토지수용과정에서 낳은 여러 난제가 한꺼번에 터져 나오는 계기로 작용했다. 두 지역의 토지수용과정과 반환과정을 알 수 있는 토지대장, 주민들이 소장한 징발해제 관련 자료, 소개 주민들의 구술 등을 활용해 토지수용과 반환 과정에서에서 발생한 공동체 변화 등을 현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residential communities such as the evacuation of residents, evacuatees’ camp life, their return to homes, and recovery through the expropriation of land and camp construction in Jeju-do and Tongyeong. First, this study will analyze how POW camps are established and constructed and examin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of wartime prisoners in Jeju and Tongyeong, which are both rear areas with drinking water and island. Jeju-do was already saturated with refugees and had Command Center of the 1st Army Training Center and several airfields, rather than logistics base to support large-scale foremost troops. In contrast, Yongcho and Pongam (presently Choobongdo) in Tongyeong were typical fishing villages without a military base although they were close from Jeju. Second, wartime prisoner and evacuatees’ camps we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in the existing civilian residences with the changes of POW and refugee policy, inevitably causing land expropriation and changing the residents’ community. After April 1952, POW and refugee camps were built in many place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wartime prisoners but setting up additional camps brought the issue of having to forcefully evacuate the existing residents. Migration and separation of families caused during land expropriation could inevitably change the residents’ community. Third, this paper will analyze what changes that expropriation of land and community brought during the evacuatees’ return, recover, and compensation. Residents who were forced to evacuate near the end of POW exchange after signing the armistice treaty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recover the village. The residents demanded the release of land expropriat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and to give them compensation. The issues of evacuatees’ recover, and compensation caused the various difficulties during the land expropriation of land to explode at once. Overall,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the changes of communities during the expropriation of land in the military facilities of two areas based on the land registers, land release data owned by the residents, and the talks of evacuated residents from the present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