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로슬라브 볼프는 루터의 직업윤리를 여러 면에서 비판하였다. 하지만 루터의 직업윤리는 종교개혁의 위대한 결실이다. 그의 직업윤리는 중세의 이원론적 직업윤리를 배경으로 할 때에 잘 파악된다. 그는 구원, 목회직, 가족관계, 직업, 교회의 직분, 특별한 사명, 일상과 관련하여 7가지 의미의 “소명” 개념을 사용하였다. 1520년의 작품들에서 루터의 직업소명론은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고 오히려 인간의 삶과 직업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모든 일을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일로 보기 때문이다. 디모데전서 3:13에 대한 주석(1527/28)을 보면, 영적 소명과 외적 소명이 같은 자리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후자가 전자보다 상위 자리를 차지해서가 아니라 두 소명 모두 그리스도를 기쁘게 섬기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1530년대 창세기 주석에서 루터는 신자들이 감사하면서 자신의 직업에 충실할 것을 권면한다. 여기서 루터의 의도는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삶의 자세를 제시하려는 것이지, 직업을 바꿔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루터는 정부가 적절한 교육을 젊은이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좋은 직업을 택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루터 자신이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대학 교수가 되었으며, 또한 다양한 자리에서의 소명에 대해 가르쳤다. 루터의 직업윤리는 그의 칭의론, 두 왕국론(Zwei-Reiche-Lehre), 율법과 복음론과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그리고 21세기 한국교회를 위해서도 중요한 적용점들을 지닌다.


Miroslav Volf criticized the vocational ethics of Luther. It is, however, a great fruit of the Reformation. It is better understood when one considers the medieval circumstance as its background. Luther used the term of “calling” in relation to salvation, pastoral ministry, family, occupation, churchly offices, special mission, and everyday life. In his 1520s works, Luther’s doctrine of calling and vocational ethics did not alienate human beings but gave more value to human life, work, and job. For it regarded all works as serving God and neighbors. In Luther’s commentary on 1 Timothy 3:13 (1527/28), the spiritual calling and the external calling took the same position because both were connected with serving Christ with pleasure. In his 1530s Genesis commentaries, Luther encouraged believers to carry out their work with gratitude. He did not mean that they should not change their job; rather, he pointed to a desirable Christian attitude toward life. Luther argu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help young people to get a good job by providing proper education. He himself was born as a son of a peasant but became a professor at a university. He also taught about one’s vocations in various states (Stand in German) such as family, church, and society. Luther’s vocational ethics is correlated with his doctrines of justification, two kingdoms, and the “law and gospel.” It provides multiple point of practical application for the 21st century Korean chu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