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가면극은 역사적으로 매우 유사한 발전 과정을 보인다. 동아시아 가면극에는 마을 주민들이 전승하던 가면극과 전문적인 연희자들이 전성하던 가면극이 있다. 가면극은 각 지역의 제사 활동에서 연행되던 것으로, 각각 자생적, 향토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므로 한·중·일 가면극의 성립과정은 상당히 유사성 있고, 연희자들의 표현 방식에 대한 각국의 보편성과 함께 가면극의 독자성을 살펴보고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한·중·일 가면극의 지역적·민족적 특성에 따른 가면극의 형태와 조형미에서 나타나는 가면(탈), 분장 등에서 보여주는 독자성을 분류하여 각국의 특성을 파악하고 탈 가면의 심미적 특성을 제시하여 전통 가면에서 보여주는 예술적 가치를 보존·발전하는데 기여 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The masque drama of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show a very similar development in history. East Asian masque are masque in which villagers have been handed down, and masque in which masters of professional performers have witnessed. The masque was performed in the sacrificial activities of each area and has a natural and native character,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 China, and Japan masque is quite similar, and we want to examine the universality of each country and the identity of masque.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uniqueness of stage costumes, masque(masks), and makeups in masque form and formative mask according to regional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China, and Japan mask masks, And to promote the expansion of the consciousness of cultural culture perform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