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회재는 주자 『대학장구』의 편차를 두 측면에서 개정하였다. 첫째, 『대학장구』 경문(經文)의 두 개 절(‘知止而后有定…慮而后能得’, ‘物有本末…則近道矣’)을 격물치지의 전문으로 보아 전5장의 ‘차위지본(此謂知本)’, ‘차위지지지야(此謂知之至也)’와 함께 전4장으로 재구성하였다. 둘째, 『대학장구』 전4장 “聽訟…” 절을 경문의 맺음말로 보아 경문 맨 뒤로 옮겼다. 이에 자연히 전체 편차가 경1장과 전9장으로 재편되었다. 이어 『대학』 해석에서도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주자가 명덕․신민을 물(物)의 본말로 삼고지지(知止)․능득(能得)을 사(事)의 종시(終始)로 삼아 물과 사를 편협하게 해석하고 있다고 보았고, ‘려(慮)’를 ‘처사정상(處事精詳)’이 아닌 ‘생각하다’로 해석하였다. ‘중(中)’과 ‘지선(至善)’은 같은 뜻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으며, 『대학장구』에서 명확히 언급되지 않은 인(仁)을 치국․평천하의 근본이라고 강조하여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담은 회재의 『대학장구보유』에 여헌 장현광과 지봉 이수광이 찬성한다. 이들은 주자의 『대학장구』 체재와 「격물보전」에 회의적이고, 『고본대학』을 회복함에 관심을 보이며, 학문적 성향도 퇴계‧율곡에 비해 자유롭다. 퇴계는 회재가 삼강령과 팔조목의 공부-공효-결어 구조를 깨뜨렸고, 새로 구성한 격물치지장에는 격물치지의 의미가 없으며, 본말로 격물치지를 설명해서는 안 된다는 세 가지 논거로 회재의 견해를 반박한다. 율곡은 ‘청송(聽訟)’ 절을 경문의 결어로 옮긴 것에는 찬성한다. 그러나 공부의 관점에서 볼 때 주자의 설대로 ‘려’를 ‘처사정상’의 의미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명시되지는 않았어도 『대학』 전체의 핵심이 인(仁)이므로 구태여 인을 치국․평천하장의 골자로 강조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회재가 보기에 격물치지는 물(物)에 나아가 그 이치를 궁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활연관통하여 궁극의 이치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물에 본말이 있고 사(事)에 종시가 있음을 아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퇴계와 율곡은 주자의 「격물보전」에 기초하여 ‘공부의 내용과 그 효과’라는 관점에서 회재의 『대학장구』 편차 개정에 반론을 제기한 것이다.


Hoejae revised Zhu-xi’s Daehak Janggu in two respects. First, he combined the two passages from main chapter[知止而后有定…慮而后能得’ and ‘物有本末…則近道矣’] and ‘此謂知本’, ‘此謂知之至也’ from chapter 5 to make chapter 4. He thought that all the passages written above explain ‘格物致知’ and should be in the same chapter. As a result, the stucture of Daehak Janggu changed into one main chapter and nine other chapters. Furthermore, Hoejae suggested his own opinion on Daehak. He opposed Zhu-xi who saw 明德․新民 as the Alpha and Omega of 物 and took 知止․能得 as the beginning and end of 事. He thought that Zhu-xi interpreted 物 and 事 in too narrow senses. Hoejae also translated ‘慮’ as ‘to think’ instead of ‘to so things with the greatest care. Besides, he argued that ‘中’ and ‘至善’ have the same meaning and emphasized that 仁 is the foundation of 治國 and 平天下. The result was Daehak Jangguboyu published in 1794. Chang Hyun-Gwang and Lee Su-Gwang who were famous Joseon scholars supported Daehak Jangguboyu. They were suspicious of Zhu-xi’s Daehak Janggu and Kyukmulbojun, curious about returning Daehak to its original form. Toegye argued that Hoejae made mistakes in three ways when he was revising Daehak Janggu, First, Hoejae destroyed the structure of study-result-epilogue. Second, The newly-made chapter 4 actually had no meaning of ‘格物致知’ as it was meant to be. Third, 本末 should not be used as a mean to explain ‘格物致知.’ Yulgok approved of Hoejae’s picking up passages of ‘聽訟’ to constitute the epilogue of the main chapter. However, he maintained that the meaning of ‘慮’ should remain as Zhu-xi suggested. At the same time, Yulgok argued that 仁 needs not be emphasized to be the foundation of chapter 治國․平天下, because it is the essence of the whole chapters. In Hoejae’s opinion, ‘格物致知’ is not such thing as to face 物 and study the principle inside of it to recognize the eternal verity. it is simply to know that there are the Alpha and Omega of 物 and the beginning and end of 事. However, both Toegye and Yulgok were against Daehak Jangguboyu because they thought that interpretation of Hoejae showed some problems in study and result in terms of the viewpoint from Kyukmulbo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