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 전기 이전에는 통치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중앙정부가 주도하여 지리지를 편찬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편찬의 주체가 지방의 관리와 士族으로 바뀌면서 安民善俗과 역사자료 보존을 목적으로 邑誌가 작성되었다. 경상도를 비롯한 下三道를 중심으로 국지적․산발적으로 편찬되던 읍지가 순조 대에 이르러 전국화되었으며 고종 때 가장 많은 읍지가 편찬되었다. 각 고을의 읍지를 成冊하여 1765년(영조41)에 작성된 것이 『輿地圖書』이다. 輿地의 ‘圖’와 ‘書’가 결합된 문헌이라는 뜻을 지닌 이 책은 통치자료 확보 차원에서 기획, 편찬된 것이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실용적 요구와 향촌사회 지배 계층인 士族의 시각 차이로 일관성과 통일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를 능가하는 전국 지리지 편찬이 성취되지 못하였으므로 『輿地圖書』는 조선조 관찬 지리지의 완성판이라 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편찬된 읍지와 이를 집성한 『輿地圖書』의 조목 중 특징적인 것은 ‘坊里’ 조가 신설되어 앞쪽에 배열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에 올라 있는 面名과 洞里名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 지명의 원초형을 발굴함은 물론 현용 洞里名으로 발전, 정착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 지명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밀한 탐구가 요구된다.


Before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books of Geography are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to accumulate administrative information. After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various town chronicles are compiled at the initiative of regional governor and local gentry to preserve historical document and provide guidance for public manners and customs. Initially begun as regional and sporadic project mainly in three lower provinces including Gyeongsang Province, the publication of town chronicles became nationwide during the reign of Sooncho and flourished during the reign of Kojong. Cultural Geography of Korea(『輿地圖書』)is published in 1765(41st year of reign of Yeongcho) by collecting all the town chronicles of Korea. It is planned and compiled to acquire administrative information with its title meaning a combination of maps and records. However, it lacks unity and consistency due to the discrepancies in viewpoin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entry. Still it is considered as the definitive book of Geography in early Chosun Dynasty as no other improved nationwide Geography books are published afterward. The main characteristic of town chronicles and Cultural Geography of Korea(『輿地圖書』) published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is the newly added section of township which is registered at first pages. The original form and historical changes of current place names can be traced by examining the nam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listed in these documents. A detailed study of these materials is required for the planning of future place nam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