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회고컨대 비교적 늦게 창립한 『한국지명학회』이지만 지난 20년 동안의 학회활동은 활발하였다. 본 학회가 창립된 다음 해(1998)에 地名學(제1집)을 창간하여 지령(誌齡)이 제26집(2017)에 이르게 되었고, 해마다 전국학술대회를 1회 또는 2회씩 개최하여 총30회에 도달(到達)하였기 때문이다. 실로 지난 20년 동안 地名學(1-26)에 발표된 논문들은 거의가 본격적인 논문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 논의과정이 얼마만큼 정치(精緻)하였는가를 따지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우선 이전의 비과학적 방법에서 벗어난 것만으로도 크게 발전한 것으로 자부할 수 있다. 그야말로 지명 연구에 대한 학문(한국의 지명학)이 비로소 확립된 것이라 하겠다. 이 업적이 지난 20년 동안 우리 학회가 축적한 가장 큰 성과이다. 그러나 더욱 발전하려면 날로 발전하는 국어학의 새 이론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지에 이르러야 할 것이다. 본 학회가 보다 역동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미래의 사업들을 다음과 같이 전망(제언)하여 본다. (1)고지명 및 고지도 연구. (2)현대 지명 및 현대 지도 연구. (3)지명과 지도의 통시적 연구. (4)지명 차자 표기법의 연구. (5)새 지명을 작명할 때 가급적이면 전통적 방법을 수용하되 다음 각항에 유의함이 바람직하다. (ㄱ)人名(인명)으로 작명하지 않는다. (ㄴ)2음절(2자) 작명이 바람직하다. (ㄷ)두 지명을 통합할 경우에는 절취 방법을 취한다. (5)역대 지리에 대한 종합적 연구. (6)인접 학문과 공동 또는 협동 연구. (7)정부 산하 기관과 긴밀히 교섭하여 지명에 관한 연구 용역과 자문의 능동적인 참여. (8)굳이 순수한 학술적 연구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학술의 근간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명과 관련된 학회와 교섭하여 참여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2007년에 우리 학회가 간행한 『한국지명연구』(地名學 論文選Ⅰ)의 續刊(속간)도 다시 추진하여야 할 사업이다.


It is a relatively late establishment of the Korea Place Name Society, but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past 20 years have been active. Since the first scholarly journal of Place Name in 1998, it has been established to mark the 26th annual event in 2017 and the National symposium has been held one or two times. In fact, most of the theses published during the past two decades have not escaped much of the thesis form. It is a matter of different dimensions to determine how much the discussion process has been elaborated. First of all, a deviation from the previous non-scientific method can be considered a great improvement. Indeed, the study of place names was finally established. This is the greatest achievement our society has accumulated in the past 20 years. To further develop, however, the society should reach a stage where it can make more active use of the new theory of Korean linguistics. The future projects that this society should pursue more dynamically as follows(suggestions). (1) A study of archaic names and archaic maps (2) A study of modern place names and modern maps. (3) A diachronic study of place names and maps. (4) A research on the transliteration of place names (5) When naming new place names, accept the traditional methods, but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clauses : They are not named by human names. (b) It is desirable to name two syllables. (b) If the two names are combined, take a disyllabic clipping (5) A synthetic study of historical geography. (6) A collaborative or cooperative study with related studies. (7) Active participation in research and advice on place names in close negotiation with a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 (8)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by negotiating with a society related to the place names without damaging a scholarship base. (9) “A Study Research on the Korean Place Names” published in 2007 has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