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근대 이전 정상적으로 공유되어 온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에 등장하는 풍수 지명을 통해 전통지리 풍수의 특징적 모습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고지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조선후기는 풍수 역사상 ‘명당풍수(明堂風水)’가 전국적으로 정상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작업은 현재적 입장에서 풍수의 거의 전부로 이해되어 온 명당풍수의 제반 요소 중 중요하게 관심 가졌던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조선후기 제작되는 수많은 전국, 지방, 군ㆍ현 단위 고지도 중 가장 상세하고 다양한 지도 정보를 담고 있는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고지도에서 확인되는 풍수 지명을 정리하고, 그러한 풍수 지명으로 표현되는 실제 지표현상이 고지도상에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고지도 상에서는 풍수 명당국면의 주요 구성요소인 사신사(四神砂), 풍수에서의 인위적 보완조치인 비보(裨補), 그리고 한국 풍수의 특징적 측면인 형국(形局) 관련 지명 등 명당풍수 관련 지명이 대부분이었다. 먼저 사신사 관련 지명은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인 읍치를 명당 국면으로 구성하는 배후 산세로서 주산(주산까지의 맥세)과 주산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안대(案對) 관련 지명이 다수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인위적인 환경대응으로서 풍수 비보 지명은 전국의 다수 군ㆍ현에서 골고루 확인되었는데 한반도 남쪽은 주로 숲을 통한 수구비보, 북쪽에서는 조산이나 제언 등을 통한 사신사나 수구비보 형태로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끝으로 풍수 형국 지명인데 『1872년 지방지도』에서는 앞서 사신사나 비보 관련 지명보다 상대적으로 아주 적은 사례만 확인되었다. 그만큼 고지도 상에서는 동ㆍ리 수준의 형국 지명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관련 형국이나 형국 지명의 종류가 적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조선후기 일상화되는 명당풍수가 『1872년 지방지도』를 포함한 군ㆍ현지도의 제작, 통용에 주요하게 작용했음을 다시금 보여주는 것이다.


In this study, I tri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fengshui through fengshui place-names represented on the Korean old map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I specifically focused on "1872 Regional Map" which contains the most detailed and diverse geographical information among the many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n I summarized fengshui place-names identified in the map, and examined how the real surfaces were represented on the old map with fengshui. As a result, I could identify that most of fengshui place-names on the old map were related to 'sasinsa' the main elements enclosing 'myungdang(fengshui good place)' and the artificial complementary elements called 'bibo' and 'hyungguk'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Korean fengshui. First, the place-names of 'sasinsa' of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county were mostly 'Jusan'(back mountain of eupchi) and 'Ansa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Jusan. Second, the place-names of fengshui 'bibo' as an artificial environment response were universally found in many counties and showed an interesting predominant tendency. Finally, the place-names of fengshui 'hyungguk' in 1872 Regional Map could be found only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cases than the place-names of 'sasinsa' and 'bibo'. This shows that 'myungdang fengshui' as a normal ge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 Korean old maps including 1872 Regional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