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 소재한 K대학 S캠퍼스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과 자아정체성을 현상학적 질적분석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6개의 주제(핵심 현상)가 도출되었다. 대학생활 및 진로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이곳’에 있지 않은 대학생활」, 「낭만과 경쟁의 상반된 대학생활」, 「막연한 진로와 몰입이 없는 노력」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자아정체성과 관련하여 「게으름에 대한 자책」, 「부모처럼 살기」, 「직업정체성의 부재와 현재지향성」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지방대학 학생들은 표준적인 대학생의 삶이나 진로 이외에 자신의 상황과 관련된 구체적 맥락에서 진로 경로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예외적으로 진로와 관련하여 개인적 네트워크를 가진 학생은 진로 설정을 뚜렷하게 하였고 노력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지방대생’이 하나의 낙인으로 작동하는 문제이다. 경쟁에서 한발 떨어지거나 자신을 내던져서 노력하기를 회피하는 모습은 경쟁의 사회적 공간에 자신을 아예 들여놓지 않는 것으로써 낙인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고 자신의 ‘얼굴’을 유지하려는 생존 전략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about career path and self-identity of students of S Campus at K University in Gyeongbuk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 topic words were derived: With regard to the recognition of career path, first, college life not here, second, the opposite university life of romance and competition, third, the vague course and effort without immersion were derived. With regard to self-identity, first, self-praise on laziness, second, live like parents, third, lack of job identity and present-orientedness were derived. The following points of discussion can be found through the derived topic words. First, local university students are not provided with a life path in the context of their situation other than the ‘standard’ university student's life or career. Exceptionally, a student with a personal network related to career has clearly established career settings and has shown himself immersed in effort. Second, "local university student" is a problem that works as a stigma. Refusing to try by falling off the competition or throwing themselves away may be a survival strategy to protect oneself and maintain one's ‘face’ by not letting themselves into a competitive social circum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