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운영전> 속 운영의 죽음을 자연화된 이념과 자연적 정념 사이의 팽팽한 내적 긴장으로 인한 분열적 주체의 자기파멸적 결말이라 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운영이 분열적 주체가 될 수밖에 없었던 조건을 두 가지 층위, 수성궁을 지배하는 권력의 양면성과 안평대군과 운영의 근친애적 관계성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배이념의 내면화와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정념의 복합적 관계 속에서 분열적 주체가 형성되었다. 3장에서는 운영이 자연적인 것처럼 내면화된 이념을 따르는 감정과 본능적이고 자연적인 정념에 이끌리는 감정 사이를 왕복 진자 운동하며 갈등하는 분열적 주체의 모습을 보임을 밝혔다. 4장에서는 분열적 주체의 또 다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는 궁녀들의 언행 변화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 살펴본 운영과 같은 분열적 주체의 출현이 갖는 의의를 분열적 주체가 공동체 내부에 미치는 영향력인 동요와 균열이라는 측면을 통해 찾을 수 있었다. 분열적 주체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억압적 지배이념에 고통 받고 이로부터 탈주하고자 하는 인간이 마주할 수밖에 없는 삶의 숙명적 조건이다. 분열적 주체로서의 운영이 보여주는 모습은 오늘날에도 낯선 장면이 아니기 때문에 운영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는 것이다.


In this study the death of the Woonyeong was regarded as a self-destructive ending of the divisive subject by the intense internal tension between the naturalized ideology and the natural passion.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onditions that were inevitably a divisive subject, in two layers, the duality of the power that dominates the shri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pyeong and the Woonyeong. As a result, the divisive subject was formed in the complex relationship of the internalization of the oppressive dominant ideology and the naturally occurring passion. Chapter 3 shows the figure of the divisive subject that conflicts with the emotion that follows the internalized ideology as natural and the emotion that is led by the instinctive and natural mindfulness. In chapter 4, I examined the change of the ladies' speech and language,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divisive subject. The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the divisive subject could be found in terms of the fluctuations and cracks which are the influences of the divisive subject in the community. The divisive subject is a fateful condition of life that human beings who are suffering from the oppressive ruling ideology regardless of the east and west and desiring to escape from it are faced with. Woonyeong as a divisive subject continues to be interested because it is not a strange scene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