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심층행위를 예측하는 데 있어 계획된 행위이론의 심층행위의도를 활용하였다. 심층행위는 감정을 조정하는 과정으로 심층행위의도와 심층행위의 관계에서 의도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에서 개인이 쉽게 변할 수 없는 성격특성에 따라 영향관계의 강도가 변할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 심층행위의도와 심층행위의 관계에서 우호성과 정서불안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심층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구통계요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인적자원관리 합리성 제고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직에서 감정노동자들로 하여금 심층행위를 수행하면 심층행위의도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사부서는 종업원들을 채용할 때 성격특성 측정을 통해 최대한 우호성이 강한 사람을 채용할 필요가 있고 정서불안정성이 강한 사람을 피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사부서에서 직원을 채용할 때, 여성 직원을 채용할 필요가 있고, 학력은 상대적으로 높은 사람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used deep acting intention to predict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ince deep acting is the process of adjusting emotion, it is difficult to insure the relationship stability between deep acting intention and deep acting,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can be changed depending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moderating effects of agreeableness and instability between deep acting intention and deep acting. In addition, identifying differences in demographic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deep acting will be meaningful in rais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ration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HRM managers should focus on hiring people who with the highest level of agreeableness and avoiding people who with strong emotional instabil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ire female employees and high education background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