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갑질’ 문화의 실태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사회불평등이라는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갑질’은 사회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의 지위나 권력을 이용해 상대방을 부당하게 대우하는 행위를 비난하는 신조어다. ‘갑질’ 또는 ‘갑’의 횡포는 ① ‘갑’과 ‘을’ 사이의 권력비대칭 관계에서, ② ‘을’이 ‘갑’보다관계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고, ③ ‘을’이 자신의 기본적인 이익을 위해 ‘갑’의 자의적인 간섭을 어쩔 수 없이 수용해야 하는 조건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사회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불평등한 상호작용의 증가는 동등한 시민적 지위를 가진 존재로서 서로를 존중하는 민주적 규범을약화시키고, 공동체 구성원 간의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치ㆍ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하게다뤄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분석은 피상적인 설명이나 개별적인사례 연구에 그치고 있을 뿐, 종합적인 경험적ㆍ이론적인 연구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갑질 및 갑을관계에 대한 인식 조사>(2018) 결과를 중심으로, ‘갑질’ 문제가 최근에 부상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갑질’의 주된 주체와 대상은 누구인지, ‘갑질’의 피해 유형과 대응방식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갑질’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등에 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ality of ‘Gapjil’ culture in Korean society and to explain it theoretically in terms of social inequality. ‘Gapjil’ is a coined word that condemns individuals or groups in socially superior position to unfairly treat relatively disadvantaged actors using their status or power. The ‘Gapjil’ or A’s tyranny occurs in the power imbalance relationship between A and B, where B is more dependent on relationships than A, and B must inevitably accept A’s arbitrary interference for its basic interests. This increase in unequal social interaction is a political and social matter in that it weakens democratic norms that respect each other as beings with equal civil status, and can lead to distrust among community members. Nonetheless, existing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superficial explanations or individual case studies, and did not provide comprehensive empirical and theoretical explan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Gapjil’ and ‘Gap-Eul’ relations (2018), we analyze why the ‘Gapjil’ problem has recently emerged, who is the main agents and subjects of the ‘Gapjil’ problem, what is the type and response of the ‘Gapjil’, and what effect it has on individuals an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