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조선사회 내 漁民의 위치와 존재방식, 그리고 행위자성을 다각도로 탐구한 한문학 분야 최초의 연구로, 논의의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조 피지배계급을 백성 일반으로 뭉뚱그리거나 농민 위주로 파악하는 것을 탈피함으로써 조선조 피지배계급에 대한 인식을 구체화하고 심화한다. 둘째, 어민과 농민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모두 고려하되 농민과 차별화되는 점에 특히 유의하여, 농업 정주민의 ‘정주성’과 구분되는 ‘유동성’이 어민의 삶에서 어떻게 발휘․굴절․억압되는지를 정밀하게 분석한다. 셋째, 어민의 삶에 대한 총체적 인식에 육박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문헌을 두루 다루면서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학제적 연구를 지향한다. 문집 소재 詩文은 물론 통신사행록, 聞見錄, 經世書, 牧民書, 생활백과사전 등 조선 전기․중기․후기의 각종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which explores the social position of fishermen in Chosŏn society and their agency in multiple ways. This paper aims at the following: First, by moving away from the vague perception of the dominated class and the peasant-centered viewpoint, the perception of the dominated class can be developed more specifically and the range of perception can be broadened. Second, I consider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fishermen and peasants in a balanced way, but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fishermen from peasants, and analyze precisely how the fluid distinguished from the sedentary of agricultural settlement is exerted, refracted or suppressed. Third, this paper focuses on interdisciplinary studies that cover a wide range of disciplines, covering a wide range of literature in order to reach the totality of recognition. I comprehensively examine the literature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Chosŏn dynasty such as poetry and prose, record of travel and reports, books that introduced social reform proposals, and life encycl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