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참여권을 중심으로 민주적 교실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찾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만 5세 유아 25명과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미소반의 민주적 교실문화 형성과정은 ‘문제파악 및 계획 단계: 우리 반 교실의 주인 찾기’, ‘실천과 변화단계: 아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반성의 반복: 진정한 민주를 찾아서’, ‘발전 계획: 민주적 문화공동체 형성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미소반의 민주적 교실문화 형성의 의미는 ‘유아교육의 본질로 돌아가기’, ‘실행연구의 반성적 실행력’,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희망’으로 종합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교육현장을 중심으로 위로부터의 문화가 아닌 유아존중의 교실문화 형성의 과정적 의미를 보여준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민주적 교실문화 관련 유아와 교사의 성향, 유아교육기관의 특성 등을 감안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educational implication by drawing the process and meanings of forming the democratic classroom culture focusing on young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For this purpose, a reflective action research was performed on 25 five-year-old children and 4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process of forming the democratic classroom culture of Miso Class included ‘stage of understanding of problems & planning: finding the owners of our classroom’, ‘stage of practice and change: paying attention to children's voices’, ‘repetition of self-reflection: finding the true democracy’, and ‘development plan: formation of democratic culture community’. Second, the meanings of forming the democratic classroom culture of Miso Class included ‘returning to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ive execution of action research’, and ‘hop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procedural meanings of forming a classroom culture determined by young children, instead of the culture deriving from the top. As follow-up, there should be diverse case-based researches considering the fact that cultures are form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y of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