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통적인 기능중심 체육수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누적된 실패로 인한 낮아진 자 기효능감(Self-Efficacy)을 향상시키기 위해 TGT협동학습모형을 농구형 게임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 한 후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TGT협동학습모형은 Johns Hopkins 대학에서 연 구 개발된 STL(Student Team Learning) 프로그램 중의 하나이다. 연구를 위해 유목적 표집을 통해 선정된 초등학생 7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이질적인 집단편성을 통 해 서로 다른 수준의 학생들로 팀을 구성하여 TGT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13주(26차 시) 동안 인지, 정의적 영역이 포함된 농구형 게임수업을 TGT 모형을 적용하여 진행한 후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TG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상위집단 및 중위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집단에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수준별 차이는 여학생 하위 집단에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TG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하위 집단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여학생 하위집단에서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TG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할 때는 학급의 성별, 수준별 특성을 고려하여 실시하여야 하고, 성공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과제를 세분화 하여 제공해야 한다. 자기효능감이 짧은 순간에 형성되지 않는 다는 것을 고려할 때, 게임 활동이 도입되는 시기부터 학생 의 수준과 흥미 및 참여도를 고려하여 TGT협동학습모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기능뿐만 아니라 정의 적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상위집단 학생들에게는 좀 더 신중한 적용이 요구된다.


Traditional gymnastic classes, being focused on functionality, have problem to decrease self-efficacy and increase learned-helplessness owing to the accumulated experiences of failures. This thesis studies the possibility to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by using TGT(Teams Games Tournament) class mode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thesis sets a hypothesis regarding whether there is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s applying TGT class model and the control group which uses traditional style of typical PE classes. To prove these hypothesis, 70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got gym classes adopting TGT model for 13 weeks. The other comparison group got typical PE classes. TGT class model adopted in this experiment is the one applied from TGT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at is one of the STL (Student Team Learning) programs developed in Johns Hopkins Univ. After experimental processing, to prove the effect of TGT class model, students' feeling of self-efficacy was inspected. The conclusions resul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gym classes that applied TGT class model increased positively the students' self-efficacy who belonged to the lower group (P<.01). Secondly, gym classes that applied TGT class model increased positively the girl-students' self-efficacy who belonged to the lower group (P<.05). Conclusionally, through this study, the gym classes applied TGT class model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to the lower group (when classified by functional level) and girl-students' group (when classified by gender). Considering the fact that self-efficacy cannot be formed in short periods, it is recommendable to adopt TGT class model from the third grade, which is the stage when game activities begin. If TGT class model is adopt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 students, it will help the students in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