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4무량심은 자·비·희·사의 마음을 객관계에 펼치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불교는 4무량의 4가지의 마음이 방향 중심으로 무량의 의미가 실현되었다. 대승경전에 이르면 무량의 의미는 모든 중생계에 이르는 과정으로 설명되며, 보살과 불의 행법으로 설명된다. 4무량심은 반야지혜와 바라밀의 실천으로 이해되며, 중생의 마음으로 들어가는 선정이라고 보았다. 2승의 선정을 비판하고 대승의 선정은 4무량심이라고 한다. 4무량심의 무량의 의미가 확대되어가면서 연고 없는 무연의 대상에까지 이른다. 대승경전의 4무량심 수행은 중생연(衆生緣)과 법연(法緣)과 무연(無緣)의 3연으로 자·비·희·사의 마음을 무량하게 실현한다. 중생을 향한 무량한 실현은 무연의 관계에 이르게 한다. 무한대의 중생계에 다가가기 때문에 무량이면서 무상(無相)이며, 중생을 위하여 닦기 때문에 바라밀이며, 중생을 비추기 때문에 일체지(一切智)인 것이다. 4무량심 수행법은 중생에게 불보살의 깨달음의 세계로 나가게 하고, 불보살에게 중생 세계로 점점 진입해 나가게 한다. 교화해야 할 중생과 교화하는 불보살이 주객합일의 일심(一心)을 이룬다. 결국 대승경전의 4무량의 무량의 의미는 무연의 의미와 동일하며, 주객을 함께 비추는 살바야 일체지의 발현이다. 대승 대보리의 이치이며, 대아의 성취이며, 무연대비의 실현이다.


Four Apramāṇas is the unfolding of maitrī·kānuṇā·muditā·upekṣā, four good moral virtues, to the world. In early buddhism, the development of Four Apramāṇas is explained in the conception of direction. In Mahāyāna buddhism, the meaning of apramāṇa is explained as the process that reach to worlds of all living beings, and understood as the fulfillment of the wisdom of prajñā and pāramitā, and explained in the relation with dhyāna. Th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apramāṇa reaches to even the object of akāraṇa which have no relation with me. In Mahāyāna texts, it is explained that maitrī·kānuṇā·muditā·upekṣā should be fulfilled through three kāraṇas; sattva-kāraṇa(衆生緣), dharma-kāraṇa(法緣), akāraṇa(無緣). The infinity itself is śūnyatā, and living with living beings is the wisdom of prajñā, no thinking is the one mind of the oneness of subject and object. In its turn, the meaning of apramāṇa of Four Apramāṇas is same to the meaning of akāraṇa, and it is the manifestation of the wisdom which illuminat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together, and the principal of mahayānā enlightment, and the achievement of great self, and prakṛti-pariśuddha-citta of tathat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