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역사 교과서 관련 연구가 왜 교과서 내용 분석에 치중하고 있는지의 연유를 교재를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 측면에서 분석하고,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교재관을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전통적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는 “교재→교사” 교재관이 아닌, “교사↔교재” 관계 속에서 교재 개발과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해 볼 때, 어떤 교사가 가르치건 상관없이 동일한 내용 또는 훌륭한 역사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역사 교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사 요인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내용과 체제의 교재인지에 상관없이 훌륭한 역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도록 교사를 교육·양성하는 방법 또한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교재관에 입각한 사례 연구를 제시하고, 연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가 역사 수업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역사 교재 개발과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why the research on history curriculum materials in Korea has been fixat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history textbooks. The study emphasizes the interactive process that takes place between teachers and curriculum materials and argues the need to critically examine the traditional theoretical framework that assume one directional movement from curriculum materials to teachers. This study then presents a case study that demonstrates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curriculum materials and teachers. Sev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adapted the textbook materials to a different degree. The results reveal that curriculum materials devoid of teacher use consideration will not be able to bring about effective instructional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discuss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research on the curriculum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