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파워먼트 평가의 가치론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임파워먼트 평가의 개념, 원리, 특징 및 방법을 분석하여 국제개발 평가의 대안적 접근법이 제공할 수 있는 개념적⋅방법론적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국제개발 평가에서 부재했던 평가 담론 및 이론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여는데 그 가치를 두고 있다. 동시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평화, 민주주의, 인권, 젠더, 역량과 같은 규범적 특성을 가진 국제개발 정책 및 프로그램을 위한 전환주의 평가(transformative evaluation)의 개념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평가의 다양한 패러다임에 대해 분석한 후, 실증주의 및 구성주의와 비교되는 전환주의 및 임파워먼트 평가의 개념적⋅방법론적 특성을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방법론(methodology) 차원에서 고찰한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 평가는 주로 평가자 주도로 진행되는 엄격한 성과의 입증보다는 평가자의 역할, 의뢰자와 평가자와의 거리,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존재론적 논의를 강조한다. 인식론적 차원에서는 평가의뢰자-평가자-사업이해관계자 사이의 권력 관계, 민주적이고 투명한 평가의 과정 및 결과 환류의 강화, 평가 목적의 다원화를 중심으로 한 평가 기획 및 수행 과정전반의 변화를 요구한다. 나아가 평가의 시기, 절차, 평가자의 역할, 환류 및 학습 강화에 대한 대안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전환주의 및 임파워먼트 평가의 가치론적(axiological) 함의를 재조명함으로서 평화, 인권증진, 사회정의, 성평등과 같은 새로운 담론의 국제개발 프로그램 적용에 가능한 이론적, 개념적 근간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의 확장을 통해, 본 연구가 우리나라 평가 패러다임(paradigm) 및 접근법(approach)의 다양성을 증진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Purpose: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dynamics between positivist, constructivist, and transformative evaluation discourses in international and national social development, together with the implications for Korean international educational development. Originality: The paper begins by exploring the axiological nature of transformative evaluation and discusses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issues of empowerment evaluation approach from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Methodology: By focusing on theoretical analysis, it examines the “ol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ve evaluation, based on Fetterman and other scholars, and the “new”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ransformative evaluations and implications developed by his colleagues in reforming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evaluation. Result: As results of the study, the author argues that empowerment evaluation opens up the potential for Korean evaluation theorists and practitioners to re-examine the ontological meaning of power dynamics between the evaluators and stockholders — eventually the so-called “beneficiaries” of development programs and projects. Further, it argues that hyper-technocratization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development will create the evaluation culture that leads to deliberate avoidance or only partial interest in the power relations for social changes. Conclusion and Implication: In conclusion, the academic discussion on transformative evaluation as a concept and empowerment evaluation as a practical approach provides new understandings to the meaning of evaluation for transformative agenda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Korea. Amidst a rapidly changing policy landscape with more emphasis on peace, rights, democracy, and gender, theoretical and conceptual discussions on evaluations can inspire and influence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social meanings and impacts of Korean development and bey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