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신경림의 『農舞』에서 ‘우리’로 나타나는 집단적 목소리의 정체를 파악하고 말할 수 없는 ‘우리’가 어떠한 말하기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약자들의 말하기’를 통한 자기재현 가능성을 문학작품을 통해 찾고자 하였다. 신경림의 『農舞』에 등장하는 모든 발화자는 가난하고 소외된 삶을 살아가는 힘없는 약자라는 점에서 하나의 목소리, 즉 ‘우리’의 목소리로 묶을 수 있다. 말할 수 있는 목소리를 가지지 못한 『農舞』의 약자들은 세 가지의 방식으로 ‘말하기’를 시도하는데, 지식인 혹은 주변인에게 대신 말해주기를 요청하는 방식, 혀가 잘려버림으로써 원초적으로 ‘말하기’가 불가능해지면서 선택하게 된 침묵의 방식, 그리고 음성언어를 대신하는 신체적 언어로 말하는 방식 등이 그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農舞』에서 세 가지 말하기 방식으로 자신들이 꾸려가는 삶의 세목은 물론 내면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그려냄으로써 자기재현에 성공한다. 비록 ‘우리’의 자기재현이 소극적인 말하기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이들이 지식인에게 대신 말해주기를 강력하게 요청하고, 신체적 언어로 생각과 감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은 또 다른 ‘말하기’ 방식을 통해 자기 삶을 재현하고자 하는 의지적 표현이다. 따라서 『農舞』의 ‘우리’가 다양한 말하기 방식으로 자신들의 체험적 삶을 재현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르뽀나 수기가 아닌 문학작품에서의 약자들의 자기재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collective voice that is represented by ‘we’ in the “Farmer’s Dance” of Shin Gyeong-rim and examine the kind of speaking method ‘we’ employ as subjects who are incapable of speaking their minds in order to find a possibility of self- representation through the ‘speech of weak person’ in a literary work. All the speakers who appear in the “Farmer’s Dance” of Shin Gyeong-rim can be bundled together as a single voice or ‘our’ voice in the sense that they are socially weak and live poor and alienated lives. Having no voice of their own to express their minds, weak person of the “Farmer’s Dance” attempts to ‘speak’ in three ways. One way was to ask intellectuals or surrounding people to speak for them, another way was to rely on silence since it became impossible for them to speak as their tongues were cutoff innately, and the third way was to use body language instead of voice language. In this way, ‘we’ succeeds in self-reappearance by drawing not only the details of everyday life but also the inner life with concrete images through three types of speech demonstrated in the “Farmer’s Dance.” Although ‘our’ self-reappearance was achieved through passive speaking, ‘we’ strongly asked the intellectuals to speak for them and showed a clear attitude to represent their lives by reveal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body langu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we’ of the “Farmer’s Dance” represented their experiential life through various speaking methods.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self-reappearance of the weak is possible in a literary work instead of a report or autobiography.